27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문정복 의원이 한국장학재단에서 받은 국가장학금 신청 현황에 따르면 올해 1학기 서울대·고려대·연세대와 의대에서 국가장학금을 신청한 학생은 총 3만8048명으로, 이 중 55.2%(2만999명)는 고소득층(소득 9·10분위)이어서 탈락했다.
![]() |
세종시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가장학금은 교육부와 한국장학재단이 대학생의 학비 부담 경감을 위해 지원하는 장학금으로 소득 8분위(중위소득 기준 200%) 이하 계층만 지원받을 수 있다.
전국 의대 39곳의 경우 국가장학금을 신청한 7347명 중 소득 9·10분위에 해당하는 학생은 56.5%(4154명)였다. 서울대는 56.7%, 고려대는 58.6%, 연세대는 48.3%를 기록했다.
반면 서울 소재 대학에서 국가장학금을 신청했다가 고소득층으로 분류돼 탈락한 비율은 지난해 기준 27.6%에 그쳤다. 전국으로 확대하면 25.3%다. 고소득층이어서 국가장학금을 받지 못한 비율은 서울대·고려대·연세대·의대가 다른 대학의 두배에 달하는 것이다.
문 의원은 “9·10구간 학생 중 자신이 고소득층임을 아는 학생은 국가장학금 신청을 하지 않았을 개연성이 크다”며 “국가장학금을 신청하지 않은 전체 재학생까지 범위를 확대하면 서울대·고려대·연세대·의대 재학 중인 고소득층 자녀 비율은 더 높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 사회에서 명문대와 의대 입학은 여전히 부모의 재정적 여건에 큰 영향을 받고 있고 부모의 부와 사회적 지위를 대물림하는 수단으로 사용돼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다”며 “교육이 다시 계층 이동의 희망사다리가 될 수 있도록 공정하게 개선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세종=김유나 기자 yoo@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