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호준(왼쪽부터), 김우민, 양재훈이 25일 중국 항저우 올림픽 스포츠센터 수영장에서 열린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수영 남자 800m 계영 결선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뒤 기뻐하고 있다. 항저우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신기록 세우고 뒤돌아서면 또 신기록이다. 사상 처음 찾아온 황금기를 맞은 한국 수영이 2022 항저우아시안게임에서 날마다 신기록을 쏟아 내며 세계무대와의 거리를 좁히고 있다. 하루가 멀다고 새 기록을 쓰는 ‘미친 속도’에 이러다 조만간 세계신기록까지 나올 기세다.
이번 아시안게임에서 효자 종목으로 부상한 수영은 연이은 메달 소식과 함께 가파른 기록 단축이 화제가 되고 있다. 달리기, 수영 등 속도를 다투는 스포츠는 0.01초를 줄이기가 결코 만만치 않다. 게다가 한국에서 수영은 늘 취약 종목으로 꼽혔기에 최근 2년 사이 단기간에 비약적인 성장을 이뤄 낸 선수들의 신기록 행진은 경이로운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이 종목 세계기록은 6분58초55인데 2009년 전신수영복으로 기술도핑 논란이 불거졌던 시기에 세운 기록이다. 도쿄올림픽에서는 영국이 6분58초58로 아깝게 경신에 실패했다. 한국수영이 줄여온 과정과 속도를 생각하면 결코 허무맹랑한 꿈이 아니다.
![]() |
금메달 확정 후 포효하는 지유찬. 항저우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남자 50m 자유형에서 우승한 지유찬(21)은 예선에서 21초84, 결선에서 21초72로 기존 22초16을 넘어 하루 만에 두 차례 한국 신기록을 세웠다. 세계기록은 기술도핑의 해인 2009년 나온 20초91이고 도쿄올림픽에선 21초07로 미국의 케일럽 드레슬(27)이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고 우승했다. 지유찬에게 그리 멀지 않은 기록이다.
남자 평영 100m에서 동메달을 딴 최동열(24)의 59초28, 남자 혼계영 400m에서 은메달을 딴 황선우·최동열·이주호(28)·김영범(17)이 세운 3분32초05 역시 한국 신기록이다. 세계기록이 평영은 56초88, 혼계영은 3분26초78로 아직 거리가 있지만 조금씩 거리가 가까워지고 있다.
선수들의 체격이 서양의 수영 강국 선수 못지않게 커졌고 호주 전지훈련을 보내는 등 대한수영연맹의 전폭적인 지원 속에 선수들이 지옥 훈련을 견뎌 내면서 성장세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분위기다. 아직 선수들의 나이도 어려 잠재력이 나날이 폭발하는 데다 절친하게 지내며 쌓은 끈끈한 팀워크 역시 성적을 끌어올리는 데 큰 도움이 됐다.
역대급 성적에 대한 기대감이 크지만 여기서 끝이 아니다. 당장 내년에 열리는 파리올림픽에서도 기대감이 크다. 한국 수영의 황금기를 이끄는 주역인 황선우도 “올림픽과 세계선수권을 바라보며 함께 나아가겠다”고 당차게 포부를 밝혔다.
류재민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