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램 기반으로 한 ‘LPCAMM’
기존보다 성능 최대 50% 향상
내년 ‘초슬림 노트북’ 등 탑재
![]()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삼성전자가 저소비전력 D램을 기반으로 한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LPCAMM’을 업계 최초로 개발했다. PC·노트북에 주로 쓰이는 기존 메모리 제품과 견줘 성능·효율성이 뛰어난 동시에 탈부착도 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초슬림 노트북이 가능해지는 등 PC·노트북 시장 판도를 바꿀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저전력 더블데이터레이트(LPDDR)’ D램을 기반으로 한 7.5Gbps(초당 기가비트) LPCAMM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LPCAMM은 LPDDR D램을 모듈화한 제품이다. LPDDR 제품은 지금까지는 스마트폰 등 모바일 장치 위주로만 쓰여왔으며, PC·노트북에는 LPDDR 패키지 제품을 메인보드에 직접 탑재한 ‘온보드 방식’이나 DDR 기반 모듈 형태의 ‘So-DIMM’이 사용되고 있다.
온보드 방식의 경우 소형화, 저전력 등 장점이 있지만 메인보드에 직접 장착돼 교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So-DIMM은 모듈 형태로 탈부착이 가능하지만 전송 속도, 공간 효율화 등에서 한계가 있다.
삼성전자는 “LPDDR을 모듈에 탑재해 고성능·저전력을 구현하면서 탈부착까지 가능하게 했다”며 “제조사에는 제작 유연성을, 사용자에게는 교체·업그레이드 등의 편의성을 증대했다”고 밝혔다.
특히 LPCAMM은 So-DIMM 대비 탑재 면적을 최대 60% 이상 감소시켜 PC·노트북 배터리 용량을 늘리는 등 내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쓸 수 있다. 게다가 So-DIMM 대비 성능은 최대 50%, 전력효율은 최대 70%까지 향상시켜, 인공지능(AI)·고성능 컴퓨팅(HPC)·서버·데이터센터 등으로 사용처를 확대할 수 있다고 삼성전자는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LPCAMM을 통해 더 얇은 형태(폼팩터)의 제품 수요에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노트북 시장에서 초슬림 제품 비중은 올해 64%에서 2027년에는 88%로 연평균 약 14%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상범 기자 ksb1231@kyunghyang.com
▶ 무슨 옷 입고 일할까? 숨어 있는 ‘작업복을 찾아라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