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시내 전기차 충전소 모습.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시장조사기관 EV볼륨스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전기차 판매량은 1만2325대였다.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7% 줄었다. 같은 기간 미국(10만8418대·61% 증가), 중국(52만59대·17%), 인도(7260대·63%), 태국(6564대·494%) 등과도 대조적이다.
![]() |
김영옥 기자 |
![]() |
박경민 기자 |
또 전기차는 배터리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주행 시 발생하는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꿔주는 회생제동 기능이 있는데, 회생제동 성능이 강하게 설정될수록 바퀴에 저항이 생겨 급감속을 유발하고 멀미를 일으는 부작용도 있다. 포털 사이트의 택시 동호회에서는 “술 마시고 전기차 택시 타면 멀미가 난다”는 댓글도 있었다.
지역별 충전 인프라 격차도 해결해야 할 숙제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급속·완속)는 20만5202개였다. 완속 충전기 1기당 전국 평균 전기차는 2.3대로 적정 대수(2대)에 근접했다. 하지만 급속 충전기의 경우 부산(34.05대)과 인천(31.02대) 등이 3배 넘게 적정 대수(10배)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26.02대)과 대구(24.93대), 경기(20.87대)도 적정 수준에 미흡했다.
세계적으로도 전동화 전환은 주춤한 모양새다. 리시 수낵 영국 총리는 지난 20일 내연기관차 신차 판매 금지 시작 시기를 기존 2030년에서 2035년으로 5년 미룬다고 밝혔다. 미국 포드는 60만 대였던 올해 전기차 생산 목표를 40만 대로 축소했다.
![]() |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5월 현대차 울산공장을 방문해 전기차 생산·수출 현장을 점검하고 자동차 및 부품업계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아이오닉 5 생산 라인을 둘러보고 있는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가운데)과 장재훈 현대차 사장(오른쪽에서 첫번째). 사진 현대차그룹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얼리어답터나 ‘친환경’에 관심 있는 소비자들은 이미 전기차를 샀고, 남은 소비층에서는 전기차가 가성비가 떨어진다는 인식이 많아 구매를 주저한다는 건 세계적 추세”라며 “현재 보조금으로 수요가 반짝 늘 수 있겠지만, 획기적인 수준은 아닐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국가적으로도 전동화는 탄소배출권 등의 문제에 있어 필요하다. 충전 인프라 확충 등 ‘전기차를 타보니 불편함이 없다’는 소비자 경험을 주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이항구 자동차융합기술원장은 “기후위기는 전 지구적 문제인 데다 전동화는 자동차 산업의 생존 과제인데 우리나라만 유독 전기차의 문제점이 과장돼 있다”며 “보조금뿐 아니라 전기차에 대한 인식을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하고 문화를 조성하는 등 국가적 차원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수민 기자 kim.sumin2@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