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9월 소비자 심리, 4개월 만에 '비관적' 전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이선영 기자 = 글로벌 경기회복 지연에 따른 수출 부진, 높은 체감 출가 등의 여파로 소비자 심리가 4개월 만에 '비관적'으로 돌아섰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2023년 9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중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9.7로 전월(103.1)보다 3.4포인트(p) 하락했다.

지수 수준은 4개월 만에 100을 하회했다. 지난 5월(98.0) 이후 가장 낮았으며, 지난 8월 이후 두 달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 중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6개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심리지표다. 100보다 크면 장기평균(2003∼2022년)과 비교해 낙관적,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임을 의미한다.

아시아투데이

자료=한국은행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CCSI를 구성하는 6개 지수는 모두 8월보다 하락했다. 현재경기판단(66·-6p), 향후경기전망(74·-6p)이 큰 폭으로 내렸고, 생활형편전망(92·-3p), 현재생활형편(89·-2p), 가계수입전망(99·-1p), 소비지출전망(112·-1p)도 하락했다.

한국은행은 "소비자심리지수는 글로벌 경기회복 지연에 따른 수출 부진 우려, 체감 물가 상승으로 인한 소비 여력 위축 등의 영향으로 하락했다"고 진단했다.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10으로 전월보다 3p 상승했다. 1년 뒤 집값 상승을 예상하는 소비자가 더 많다는 의미다. 이 지수는 지난해 11월(61) 역대 최저 수준까지 떨어진 이후 10개월 연속 상승세다.

금리수준전망지수는 118로 지난달과 같았다. 물가상승률 반등에 따른 긴축 기조 유지, 대출금리를 비롯한 높은 시중금리 지속 등의 여파다.

물가수준전망(147)은 가공식품, 외식서비스 등의 상승폭 둔화에도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석유류가격 하락폭 축소, 농산물가격 상승 등으로 전월과 같은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기대인플레이션율을 3.3%로 전월과 동일했다. 기대인플레이션율은 향후 1년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로, 올해 2월 4.0%까지 올랐다가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