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에 따르면 자산 상위 50대 그룹이 2013~2023년 공정거래위원회에 보고한 계열사들의 참여 업종들을 분석한 결과, 올해 기준 50대 그룹의 계열사는 2177개로 모두 46개 업종에 참여하고 있었다.
![]() |
서울 중구 SK서린빌딩 전경. /조선DB |
부동산임대업은 최근 10년간 117개사에서 310개사로 193개사 늘어나 계열사 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업종으로 조사됐는데, 특히 2017년 이후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부동산·임대업에 참여하는 계열사가 가장 많은 그룹은 SK(17개사), 롯데와 신세계(각 16개사), DL(14개사), 한화(13개사), 넷마블(10개사) 등 순이었다.
같은 기간 태양광, 풍력 등의 발전 사업에 진출하는 기업이 늘면서 에너지업 기업이 88개사에서 233개사로 145개사(164.8%)가 늘었다. 또 IT 서비스·게임 관련 그룹들이 50대 그룹에 편입되면서 콘텐츠·엔터테인먼트 기업은 46개사에서 181개사로 135개사(293.5%)가 증가했다.
반면 상위 10개 업종 가운데 제조업으로 분류된 기업은 185개사에서 179개사로 감소했다. 리더스인덱스는 “업종별 현황을 보면 부동산·임대업이나 콘텐츠·엔터테인먼트 사업, 금융업, 경영 컨설팅 등 비제조업 분야 계열사가 늘고 전통 제조업은 참여 기업이 줄었다”고 분석했다.
국내 50대 그룹 중 계열사 수가 가장 많은 곳은 SK그룹으로, 올해 기준 186개로 집계됐다. 이는 삼성전자(60개), 현대차(57개), LG그룹(73개) 등 4대 그룹 평균을 크게 웃돈다. 30대 그룹 내 가장 계열사 수가 많은 카카오(136개)보다도 50개 이상 많았다. 최근 10년간 증가 속도도 2013년 81개 대비 105개 증가해, 30대 그룹 중 가장 급속하게 불어났다.
국내 50대 그룹 중 참여 업종이 가장 많은 곳은 SK그룹으로, 46개 업종 중 31개 업종에 참여하고 있었다. 이어 LG와 GS(각 26개), 롯데(25개), 한화(23개), 삼성(21개), 현대차(20개) 순이었다.
![]() |
50대 그룹 계열사 참여 업종 현황. /리더스인덱스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재훤 기자(hwon@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