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대환대출 인프라 확대
주택 전세대출 대환도 가능
주택 전세대출 대환도 가능
◆ 온라인 대출 빅뱅 ◆
![]() |
[사진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르면 연말께부터 온라인을 통해 아파트 주택담보대출과 전세대출 상품을 비교하고, 보다 낮은 금리로 갈아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대출 금리 경쟁이 더욱 활성화돼 소비자 부담이 줄어들 전망이다. 금융권 자금 흐름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3억~4억원 이상의 주담대를 갖고 있는 사람이 대출을 갈아타 금리를 1%포인트 가량 낮출 수 있으면, 연간 수백 만원의 이자비용을 줄일 수 있다.
금융위원회는 25일 지난 5월 출시한 ‘대환대출 인프라’ 대상상품을 기존 신용대출에 더해 아파트 주택담보대출과 모든 주택의 전세대출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대환대출 인프라는 온라인에서 금융사 별로 대출 금리를 비교해 손쉽게 갈아탈 수 있도록 만든 서비스다.
신진창 금융위 금융산업국장은 “현재 금리를 비교할 수 있도록 19개 플랫폼 기업이 참여하겠다고 했고 은행, 보험, 저축은행, 여신전문금융사까지 32개 금융사가 관련 대출상품 공급 의사를 밝혔다”며 “올해 연말을 목표로 서비스 대상을 아파트 주담대와 전세대출로 확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택관련 대출은 그간 갈아타기가 복잡하고 까다로웠다. 온라인 대출비교 플랫폼 숫자도 적은데다 실제 갈아타는 과정에서도 영업점 방문, 법무사를 통한 대출자금 상환처럼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 했다. 이 과정에서 금융사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었다. 하지만 대환대출 인프라 대상이 확대되면 금리비교부터 대출금 상환·실행까지 대출 갈아타기 전 과정이 온라인에서 한번에 가능해진다. 다만 담보물인 주택에 대해 금융사가 시세, 권리 관계를 살펴보는 검토 작업이 필요해 대환대출에 소요되는 시간은 2~7일 정도 걸릴 전망이다.
대환대출이 가능한 주담대는 우선 아파트로 한정한다. 아파트 이외 주택은 시세 확인이 어려워 추후 과제로 미뤄졌다. 전세대출은 주택금융공사을 비롯한 보증기관의 상환보증 전세대출이 대상이다.
금융위는 대환대출 인프라가 가계대출 규제 완화로 읽히는 시각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신 국장은 “기존 대출 갈아타기에 한정된 것이며 대환대출은 현재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준수하는 범위 내에서만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대환대출 인프라는 지난 5월 신용대출만을 대상으로 출범해 넉달 새 총 6만7384건, 1조5849억원 대출 이동 실적을 올렸다. 이로인해 소비자가 누린 평균 대출금리 하락폭은 연 1.5%포인트, 연간 총 이자 절감액은 300억원을 웃돌고 있다.
Copyright ⓒ 매일경제.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