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구의 기원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해줄 소행성 정보를 실은 캡슐이 지구에 무사히 도착했다. 캡슐에는 지구에서 약 50만km 떨어진 소행성 ‘베누’의 토양 샘플 250g이 들어있다. 학계에서는 지구에서 생명을 탄생시킨 유기물과 물의 기원을 이해하는 데 이번 샘플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24일(현지시간) 오전 8시 52분 베누 샘플을 실은 캡슐이 미국 유타주 공군 시험 및 훈련장(UTTR)에 떨어졌다고 밝혔다. 샘플을 싣고 온 NASA의 소행성 탐사선 ‘오시리스-렉스’는 2016년 지구를 출발해 7년 만에 지구 근처로 되돌아왔다. 상공 약 10만km에서 캡슐을 떨어뜨린 뒤 다시 또 다른 소행성인 아포피스로 이동했다. 아포피스에는 2029년 도달할 예정이다.
앞서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하야부사 1호’ ‘하야부사 2호’를 통해 소행성 샘플을 수집한 바 있다. 하야부사 2호는 2020년 베누와 같은 탄소질 소행성 ‘류구’에서 5.2g 정도의 샘플을 채취했다. 샘플을 분석한 결과 초기 지구에 물을 전달했다는 증거와 함께 유전자 지도인 리보핵산(RNA)을 구성하는 ‘우라실’을 발견했다.
현재 베누 샘플은 UTTR 내 임시 클린룸에 운반돼 보관되고 있다. 샘플의 75%는 향후 미래의 과학자들이 분석할 수 있도록 남겨두고, 나머지 샘플은 NASA, JAXA, 캐나다 우주국 등에서 분석될 예정이다. NASA는 샘플의 정확한 무게와 주요 특징 등은 10월 중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올해 하반기(7월~12월)는 소행성 임무가 줄줄이 이어질 전망이다. 10월 5일에는 NASA가 ‘보물 소행성’으로 불리는 ‘16프시케’ 탐사선을 발사한다. 프시케는 화성과 목성 사이 소행성 벨트에 있으며, 금, 철, 니켈과 같은 희귀 광물로 이뤄져 있다. 지구에서 약 3억7000만km로 2029년 8월에 16프시케에 도달할 예정이다. 2021년 발사된 NASA의 소행성 탐사선 ‘루시’는 11월 1일 소행성 ‘딘키네시’ 시작으로 목성 근처의 소행성 8개를 12년간 차례로 관측할 예정이다.
최지원 기자 jwchoi@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