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등교거부 학생 속출한 일본에 ‘방송통신고’ 급증… 제도 정비도 시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일본의 통신제고교 중 하나인 ‘N고등학교’가 가상현실을 이용한 입학식을 진행하고 있다. | N고교 홈페이지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본에서 학교에 가길 거부하는 학생들이 급증하자 이들을 위한 교육적 대안으로 ‘방송통신고등학교’(통신제고교)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정부는 통신제 고교 수가 증가하면서 부작용이 발생하자 이들 학교에 대한 인가 기준 정비에 나섰다.

25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 내 통신제 고교들은 2003년 당시 138개교였으나 지난해 5월 기준 288개로 늘어났다. 20년 사이 2배 가량 늘어난 것이다. 통신제 고교는 태평양 전쟁 이후 일하는 청년층에게 교육 기회를 주기 위해 제도화됐으나, 최근에는 ‘등교거부’ 학생들에 대한 대안교육으로서의 수요가 높아지며 수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일본에서 등교거부 학생이란 질병이나 경제적 문제가 아닌 이유로 30일 이상 학교에 출석하지 않는 학생을 의미한다. 일본에선 학교 교육에 대한 부모들의 의식 변화나 아이들의 사회성 감소, 학교폭력 등의 문제로 그간 등교거부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늘어나 사회문제가 됐다. 여기에 최근 코로나19 사태까지 겹치면서 지난해 일본의 등교거부 초·중학생은 사상 최대인 24만여명을 기록했다.

등교거부 학생들은 학습의 자유도가 높은 통신제 고교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통신제 고교는 일반 고등학교처럼 3년 가량의 학습 기간을 정하고 있으나 대면수업(스쿨링)뿐만 아니라 e러닝, 보고서, 시험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학점을 취득하면 졸업 자격을 인정해주고 있다. 대면수업은 한 달에 2차례 정도 시행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1년에 5일 가량 합숙 형식으로 진행하거나 몇 번 나갈지 선택하게 하는 경우도 있다. 소풍을 게임 등 가상현실로 진행하는 사례도 있다.

하지만 이들 학교가 늘어나며 문제도 늘었다. 일부 학교들이 교육을 부실하게 하거나, 정부로부터 받는 보조금을 부정 수급하는 사례가 발견된 것이다. 문무과학성의 조사에서는 학점 습득에 필요한 대면지도를 아예 실시하지 않거나, 교원이 아닌 이들을 수업에 투입하는 등 부적절한 운영 사례가 발견됐다.

이에 일본 정부는 향후 통신제 고교의 설치 인가를 엄격하게 할 방침이다. 적절한 학습 정원을 설정하게 하고 교육이나 연간 행사에 있어 기본적인 계획을 정해 공표하며, ‘괴롭힘 방지’나 ‘위기 관리’ 계획을 수립케 하는 등 기준을 강화한다는 것이다.

요미우리신문은 “정부는 그간 통신제 고교에 대해 최소한의 요건만 정하고 있었을 뿐, 구체적인 인가 기준을 정하고 있지 않았다”라며 “정부는 향후 교육의 질을 확보하기 위해 (새로 설정한) 인가 기준을 지방자치단체들에 제시하고 인가의 엄격화를 도모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박용하 기자 yong14h@kyunghyang.com

▶ 무슨 옷 입고 일할까? 숨어 있는 ‘작업복을 찾아라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