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위기의 카카오, 네이버 공동창업자 김정호 영입…"구원투수 될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대내외 논란에 휩싸인 카카오가 그룹 컨트롤타워를 손질하고 내부 재정비에 나선다. 네이버 공동창업자인 김정호 베어베터 대표를 비롯한 3명의 임원을 CA협의체(공동체얼라이먼트센터)에 선임해 조직을 보강했다.

24일 카카오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주 인사를 통해 김정호 베어베터 대표를 CA협의체(옛 CAC·공동체얼라인먼트센터)에 대표급 총괄 3명을 신규 임명했다.

경영지원 총괄에는 네이버 공동창업자 출신인 김정호 브라이언임팩트재단 이사장 겸 베어베터 대표를 임명했다. 카카오의 벤처캐피탈(VC) 관계사 카카오벤처스의 정신아 대표는 CA협의체 사업 총괄을, 권대열 현 카카오 정책센터장은 RM(Risk Management, 위기관리) 총괄을 맡았다.

이에 따라 CA협의체는 홍은택 카카오 대표와 배재현 '투자' 총괄을 포함해 김범수 미래이니셔티브 센터장, 송지호 전 크러스트 대표 등으로 4인 총괄 체제로 개편됐다.

CA 협의체는 카카오 계열사의 전략 방향을 조율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지난해 CAC(공동체얼라인먼트센터)에서 이름을 바꿨다.

카카오 관계자는 "회사 규모가 커짐에 따라 사업관리, 경영지원, 위기관리 영역의 총괄을 신규 임명해 4인 총괄 체제로 개편한 것"이라며 "협의체의 역할에는 변함이 없다"라고 말했다.

업계는 김정호 대표의 역할에 이목이 집중된다.

김 대표는 네이버 공동창업자 중 한명으로, 벤처 1세대 주역이다. 그는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와 김범수 창업자의 삼성SDS 입사 선배로 인연을 맺었다.

김 대표는 삼성SDS 재직 당시, 김범수 창업자와 PC 통신인 '유니텔'을 만들기도 했다. 이후 지난 1999년 이해진 네이버 GIO와 네이버를 설립했다.

특히 김 대표는 김범수 창업자가 한게임을 창업했을 때 투자유치를 돕기도 했으며, 지난 2000년 네이버와 한게임의 합병 과정에서 중재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김 대표는 NHN 한게임 대표, NHN차이나 대표등을 역임했고 2012년부터는 사회적 기업 베어베터를 설립해 운영해 왔다. 지난해 5월부터 김범수 창업자 개인 사회공헌재단인 브라이언임팩트의 이사장도 맡고 있다.

한편, 이번 협의체 개편으로 대내외적 위기 상황에 놓인 카카오가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지 이목이 집중된다.

카카오는 지난해 10월 데이터센터(IDC)에 화재가 나면서 카카오톡 서비스 먹통 사태로 논란이 됐다. 올해는 SM엔터테인먼트 인수 당시, 하이브의 공개매수를 방해하기 위한 시세 조종 혐의로 금융당국의 조사를 받고 있다.

최근에는 시민단체가 김범수 창업자 등 관계사 임원이 카카오 계열사 그라운드X의 가상자산을 통해 수천억원을 횡령했다며 검찰에 고발한 데 이어 카카오의 재무그룹장(CFO)이 법인카드로 1억원 상당의 게임 아이템을 결제해 사내 징계를 받기도 했다.

이밖에도 자회사인 카카오모빌리티는 올해 6월 '콜(호출) 몰아주기' 관련 공정위로부터 271억원의 과징금을 부과 받았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협의체 개편이 최근 카카오 그룹 전반 깔린 위기의식과 무관하진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경험이 풍부한 김 대표의 역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