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우크라, 남부 전선 또 돌파…지휘관 “베르보베 측면 뚫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우크라, 남부 전선 또 돌파…지휘관 “베르보베 측면 뚫었다” / 사진=CNN, 딥 스테이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크라이나군이 영토 수복을 위한 반격 작전의 일부로 남부 자포리자 전선에서 러시아 방어선을 일부 돌파하며 진전을 보이고 있다.

23일(현지시간) 미국 CNN 방송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남부군 지휘관인 올렉산드르 타르나우스키 준장은 전날 인터뷰에서 “(자포리자주) 베르보베 근처 왼쪽 측면에서 우리 군은 (러시아 방어선을) 돌파했고 계속 더 나아가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신문

우크라이나 남부군 지휘관인 올렉산드르 타르나우스키 준장 / 사진=CNN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신문

우크라이나 남부군은 자포리자주 마을 베르보베 근처 왼쪽 측면에서 러시아 방어선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 사진=딥 스테이트 텔레그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군대가 “예상했던 것 만큼 빠르지도, 2차 세계대전 관련 영화에서처럼 빠르지도 않다”고 인정하면서도 “요점은 (우리가 가진) 주도권을 잃지 않는 것이며, 실제 행동으로도 잃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우크라이나군은 최근 몇 주간 자포리자 지역에 있는 러시아군 거점들의 1차 방어선을 돌파했다고 주장했다. 이는 우크라이나가 남부 전선을 따라 늘어선 러시아의 요새화 된 참호 네트워크에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는 징후라고 CNN은 분석했다.

다만 러시아가 임명한 자포리자 점령지의 관리들은 전투 상황을 다른 시각으로 전했다. CNN은 양측의 전장 보고를 확인할 수 없지만, 입수 가능한 영상들을 공개 분석한 결과, 일부 우크라이나 부대가 베르보베 마을 근처 러시아 방어선의 중요 지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우크라이나의 장기적인 목표 중 하나는 동부 러시아 점령지와 러시아가 2014년 강제 병합한 크름반도를 연결하는 육교를 끊어 러시아군의 핵심 보급로를 차단하는 것이다.
서울신문

삼각형처럼 보이는 로보티네와 베르보베, 노보프로쿠피우카 지역은 우크라이나군이 남쪽 방향 도시 토크마크(노란색 동그라미)로 나아가는 관문이다. / 사진=구글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달 초 우크라이나군은 자포리자 마을 로보티네를 공식 탈환하고, 이곳에서 남쪽으로 약 3㎞ 떨어진 마을 노보프로코피우카 방향으로 진격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로보티네의 4시 방향으로 약 15㎞ 떨어진 마을인 베르보베에 대해서도 우크라이나군이 진격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삼각형처럼 보이는 이들 지역은 우크라이나군이 남쪽 방향 도시 토크마크로 나아가는 관문일 뿐이다. 토크마크는 반도까지 이어지는 철도·물류 요충지로 러시아군이 사용하고 있다. 타르나우스키 준장도 남부 전선 반격 중 최대 돌파구는 바로 이 도시를 탈환하고 나서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CNN은 이주 초 우크라이나군이 토크마크에서 약 20㎞ 떨어져 있으며 여러 겹으로 된 러시아 방어선을 뚫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타르나우스키 준장은 “앞으로 큰 돌파구가 있으리라 믿는다. 내 생각엔 토크마크 이후에 그런 일이 일어날 것 같다”며 “현재 (러시아군은) 두터운 방어선에 의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