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공짜 지하철 타는 게 낙"…NYT, 무료승차 한국 노인들 조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지난 2월 7일 대전도시철도 대전역 발권기에서 한 어르신이 우대권을 발권 받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노인들이 65세 이상에게 주는 지하철 무료 승차 혜택을 이용한 열차 나들이를 낙으로 삼고 있다고 미국 일간지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

NYT는 23일(현지시간) ‘나이 든 지하철 탑승자들이 여행에서 기쁨을 찾는다’는 제목의 서울발 기사에서 다양한 지하철 여행자들을 조명했다.

8월 한여름 고운 한복에 운동화, 밀짚모자 차림으로 집을 나선 이진호(85) 씨는 집 근처 4호선 수유역에서 지하철을 타고 1차례 환승해 1시간여 만에 1호선 종점인 소요산역에 도착했다.

이씨는 역 근처를 거닐다 그늘에서 잠시 휴식을 취한 뒤 다시 남쪽으로 향하는 열차에 올랐다.

그는 시간을 보내는 데에 공짜 지하철 타기만큼 좋은 것이 없다며 “집에 있으면 지루하고 누워만 있게 된다”고 말했다.

NYT는 많은 노인이 이씨처럼 지하철을 타고 종착역까지 가거나 혹은 특별한 목적지 없이 다니다 집에 돌아오며 하루를 보낸다고 보도했다.

특히 무더운 여름에는 에어컨이 나오고 오가는 사람들을 구경하기에 좋은 데다 노선도 많고 긴 수도권 지하철은 소일하기에 더할 나위가 없다고 덧붙였다.

지하철 나들이에 나서는 노인들은 나이도 이전 직업도 다양하다.

전종득(85)씨는 수학 교수로 일하다 은퇴했다. 그는 지하철을 타고 가며 책을 읽다가 졸기도 한다면서 “(지하철 여행은) 정말 멋지다. 서울 구석구석 못 가는 곳이 없다”고 말했다.

NYT는 노인인구 증가로 서울에서 지하철 무료승차 대상이 연간 승차인원의 15%를 차지하게 되면서 ‘지공거사’라는 별명이 생길 정도로 이들의 존재감이 커졌다고 소개했다. ‘지하철 공짜’에 일을 하지 않고 노는 사람을 뜻하는 ‘거사’(居士)를 붙인 표현이다.

이들은 민폐를 끼치지 않기 위한 나름의 규칙도 있다고 한다. 사람들이 몰리는 출퇴근 시간대는 피하기, 자리를 양보해야 한다는 부담을 주지 않도록 앉아있는 젊은이들 앞에 서 있지 않기 등이다.

신문은 지하철 적자로 노인 무료 승차를 폐지하거나 기준 연령을 올리는 방안이 꾸준히 거론되고 있지만, 노인 빈곤율이 일본이나 미국의 두배에 달하는 한국에서 1회 탑승 요금 1천500원을 아낄 수 있다는 것은 어르신들에게 작지 않은 의미가 있다고 짚었다.

김호일 대한노인회장은 지난 2월 서울시 관련 토론회에서 노인들이 지하철 무료 승차를 이용해 활동을 계속하게 되면 국가적으로 의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며 “왜 이 행복을 빼앗으려 하는가”라고 호소하기도 했다.

중앙일보

지난 2월 8일 지하철 종로3가역에 한 노인이 개찰구를 향해 걸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배기만(91) 씨는 70년을 해로한 아내가 지난해 먼저 세상을 떠난 뒤 깊은 우울감에 한동안 며칠씩 씻지도, 먹지도 않고 지냈다.

그러다 지하철 나들이를 다니게 되면서 옷을 찾아 입고, 밥을 챙겨 먹게 됐으며 잠도 더 잘 자게 됐다고 했다.

배씨는 날마다 어디로 지하철을 타고 갈까 찾아보려 수도권 지하철 노선도를 5부나 챙겨뒀다면서 “만약 요금을 내야 한다면 이렇게 다니기가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정시내 기자 jung.sinae@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