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영원히 잠든 인도 달 착륙선…영하 100도 추위 못견뎌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 3일부터 수면 모드…교신에 응답 없어

“극한의 저온에 배터리가 손상됐을 가능성”

세계 최초로 달 남극에 착륙한 인도의 달 착륙선과 탐사 로봇이 영원한 잠에 빠졌다. 달의 밤에 찾아오는 혹독한 추위를 결국 버텨내지 못한 것이다.

23일(현지시간) 인디아 투데이 등은 “인도우주연구기구(ISRO)가 전날 달 착륙선 비크람, 탐사 로봇 프라그얀과 교신을 시도했지만 아무 회신을 받지 못했다”고 보도했다.

인도의 달 탐사선 찬드라얀 3호의 착륙선 비크람은 지난달 23일 달 남극에 성공적으로 착륙했다. 이어 비크람에 탑재됐던 6륜 탐사 로봇 프라그얀이 내려 탐사를 시작했다.

프라그얀은 13일 동안 100m 정도를 이동하며 남극 표면에 황(黃)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고, 비크람은 달 남극 표면 토양의 기온을 측정하는 등 각종 과학 데이터를 지구로 보냈다. 비크람은 약 40㎝를 점프해서 안착하는 실험에도 성공했다.

그 사이 달의 밤이 찾아왔고, 13일간의 활동을 마친 비크람과 프라그얀은 지난 3일 태양 전지판을 해가 떠오르는 방향으로 두고 수면 모드에 들어갔다.

아시아경제

인류 최초의 달 남극 착륙선 ‘비크람’ [이미지 출처=인도우주연구기구(ISRO) 제공]


ISRO는 “이들이 성공적으로 깨어나길 바란다”며 “그러지 못할 경우 이들은 인도의 달 대사로 영원히 그곳에 머물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22일 달 남극에 해가 떠오른 후에도 이들은 깨어나지 않았다. 영국 BBC는 “극한의 저온에 이들의 배터리가 손상됐을 가능성이 제기된다”고 분석했다.

지난 10일 미국 스페이스닷컴은 “비크람과 프라그얀이 약 14일간의 밤이 끝난 뒤 다시 재가동할 수 있을지의 여부는 운에 달려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달은 낮과 밤이 14일 주기로 바뀌며, 밤에는 기온이 100도 이하까지 떨어진다. 이런 이유로 태양전지를 동력으로 삼는 비크람과 프라그얀이 달의 밤을 견디지 못하리라는 예상은 이미 여러 차례 제기됐다. 내구성이 더 높은 부품이나 보온 장치를 추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ISRO는 비크람과 프라그얀에 이런 대비를 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공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전문가들은 달에서의 탐사 기간이 길지 않을 것으로 보고, 착륙선의 중량을 덜어 보다 안정적으로 착륙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ISRO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앞으로 비크람, 프라그얀과 며칠 동안 교신을 시도할 계획”이라면서도 “이들이 다시 탐사를 시작할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고 전했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