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류 최초의 달 남극 착륙선인 인도의 찬드라얀 3호 탐사 로봇 ‘프라기안’이 찍은 착륙선 ‘비크람’. 인도우주연구기구 엑스 (X·트위터) 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세계 최초로 달 남극에 착륙해 임무를 수행했던 인도 달 착륙선과 탐사 로봇이 달의 밤을 이겨내지 못하고 영원한 잠에 들었다.
23일(현지시간) 인도 현지 매체 인디아투데이 등은 인도우주연구기구(ISRO)가 22일 달 착륙선 비크람, 탐사 로봇 프라기안과 교신을 시도했지만, 현재로서 이들에게 어떠한 신호도 받지 못했다고 보도했다.
ISRO는 앞으로 며칠 간 교신을 시도할 계획이나, 이들이 다시 깨어나 탐사를 시작할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고 전했다.
![]() |
인도 찬드라얀 3호의 탐사차 프라그얀의 이동 경로. 인도우주연구기구 엑스 (X·트위터) 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인도의 달 탐사선 찬드라얀 3호의 착륙선 비크람은 지난달 23일 달 인류 최초로 남극에 착륙했고, 비크람이 품고 있던 탐사 로봇 프라기안이 내려 탐사에 나섰다.
프라기안은 13일 간 100m 정도를 이동하며 남극 표면에 황(黃)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비크람은 남극 표면 토양 기온 측정 등 각종 과학 데이터를 지구로 보냈다.
그 사이 달의 밤이 찾아왔고 이들은 지난 3일 태양 전지판을 해가 다시 떠오를 곳에 향해 두고 수면 모드에 들어갔다.
달에서는 낮과 밤이 14일 주기로 바뀌는데, 특히 햇빛이 없는 달 남극의 밤은 기온이 영하 100도 이하로 떨어질 만큼 극한의 추위에 접어든다.
22일 달 남극에도 해가 떠올라 전지판이 데워졌으나 이들은 끝내 깨어나지 못했다. BBC는 “극한적인 저온에서 배터리가 손상됐을 가능성이 제기된다”고 했다.
당초 비크람과 프라기안이 달의 밤을 견디지 못할 것이란 전망은 어느 정도 예상됐던 바.
![]() |
인도우주연구기구 엑스 (X·트위터) 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영하 100도 이하로 떨어지는 길고 추운 달의 밤을 이겨내려면 보온장치를 추가하거나 내구성이 강한 부품을 사용해야 했다. 그러나 그만큼 비용과 무게 및 복잡성이 커져 ISRO는 이런 장치를 달지 않았다.
앞서 지난 2일 ISRO는 이들이 수면모드에 들어가기 전 공식 X(구 트위터) 계정을 통해 “(이들이) 성공적으로 깨어날 수 있길 바란다. 그렇지 않다면 이들은 인도의 달의 대사(앰버서더)로서 영원히 그곳에 머물게 될 것”이라고 전한 바 있다.
최윤정 온라인 뉴스 기자 mary1701@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