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우주연구기구, 교신 끊겨…못 깨어날 듯
![]() |
남극 표면에 있는 찬드라얀 3호의 착륙선 비크람이 탐사로봇 프라기안에 탑재된 카메라에 찍힌 모습. 인도우주연구기구(ISRO)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세계 최초로 달 남극에 착륙해 임무를 수행하던 인도의 달 착륙선과 탐사 로봇이 추운 달의 밤을 이겨내지 못하고 결국 잠들었다.
23일(현지시간) 인디아 투데이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인도우주연구기구(ISRO)는 전날 달 남극에 아침이 밝아오자 잠들었던 달 착륙선 비크람과 탐사 로봇 프라기안과 교신을 시도했지만, 아무런 신호를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ISRO는 앞으로 며칠 동안 교신을 시도할 계획이지만, 이들이 깨어나 다시 탐사를 시작할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고 설명했다.
인도의 달 탐사선 찬드라얀 3호의 착륙선 비크람은 지난달 23일 달 남극에 착륙했다. 이어 함께 품고 온 탐사 로봇 프라기안이 내려 탐사를 시작했다. 프라기안은 13일 동안 100m 정도를 이동하며 남극 표면에 황(黃)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비크람은 달 남극 표면 토양의 기온을 측정하는 등 각종 과학 데이터를 지구로 보냈다.
비크람은 약 40㎝를 점프해 안착하는 실험에도 성공했다. 그 사이 달의 밤이 찾아왔고 이들은 지난 3일 수면 모드에 들어갔다.
이들은 태양광으로 전기를 만들어 작동한다. 달에서는 낮과 밤이 14일 주기로 바뀌며, 햇빛이 없는 달 남극의 밤은 영하 100도 이하로 떨어진다.
이들은 태양 전지판을 해가 떠오를 곳을 향해 두고 잠들었고, 22일 달 남극에도 해가 떠올라 전지판을 데웠지만 깨어나지 않았다고 ISRO는 전했다.
비크람과 프라기안이 달의 밤을 이겨내지 못할 것이란 점은 당초 예상됐던 일이다. 영하 100도 이하로 떨어지는 길고 혹독한 달의 밤을 견디려면 보온 장치를 달거나 더 내구성이 있는 부품을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그만큼 비용과 무게, 복잡성이 커진다. 때문에 ISRO는 이런 장치 없이 비크람과 프라기안이 달의 밤을 이겨내길 희망했다.
김은성 기자 kes@kyunghyang.com
▶ 무슨 옷 입고 일할까? 숨어 있는 ‘작업복을 찾아라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