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적 선택 알려지며 상담 수요 더 늘 듯
“교원치유센터 내실 운영 위한 조치 필요”
![]() |
연합뉴스 자료사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교권 피해 등교사들을 상대로 한 상담과 치료가 한 해 2만건이 넘지만 상담사는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의 잇따른 극단적 선택이 알려지면서 교원들의 상담이 늘어날 가능성이 커진 만큼 교원치유지원센터가 내실있게 운영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강득구 의원이 교육부와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교육청 산하 교원치유센터와 교권보호지원센터에 재직 중인 상담사는 총 29명에 불과했다.
경기도가 7명으로 가장 많았다. 경남이 3명, 광주·대구·세종·전북은 상담사가 2명씩이었다. 서울·부산·강원·경북·대전·울산·인천·전남·제주·충남·충북은 상담사가 1명씩이었다.
반면 센터에서 진행되는 교원 상담과 심리치료는 증가하는 추세다. 상담은 2020년 7936건에서 2021년 1만3621건, 지난해 1만9799건으로 늘어났다.
심리치료는 2020년 1498건, 2021년 1791건, 2022년 2165건으로 늘었다. 지난해에만 총 2만1964건의 상담과 심리치료가 진행된 셈이다.
일부 교사들의 잇따른 극단 선택이 알려지면서 우울감을 호소하는 교원들이 늘어나 향후 상담이나 심리치료 건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교권 회복 차원에서 교사들이 교원치유지원센터에서 상담·치료를 받을 수 있게 지원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상담사가 한정적인 만큼 시설과 인력 지원 등 실질적인 조치가 병행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강득구 의원은 “교원 심리치료가 매년 증가하는 상황에 맞춰 인력과 예산 편성이 이뤄져야 한다”며 “교원치유지원센터가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내실 있게 운영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은성 기자 kes@kyunghyang.com
▶ 무슨 옷 입고 일할까? 숨어 있는 ‘작업복을 찾아라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