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매체, 동원령 후 전사자 3000명 조사
21일(현지시간) 미국 시사주간 뉴스위크는 러시아 탐사보도매체 아이스토리스(Important Stories) 및 비영리 조사단체 '분쟁정보팀(이하 'CIT')'의 보고서를 인용해 이 같이 보도했다.
이들 단체는 1년 전인 지난해 9월21일 러시아 당국의 부분적 동원령 발령에 따라 새로 징집된 약 30만명과 관련한 사망 사례를 분석해 보고서를 냈다. 조사 대상이 된 러시아군 전사자 약 3000명은 언론 보도와 공식 발표, 친인척의 언급 등으로 확인했다.
![]() |
[이미지출처=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분석 결과, 동원령으로 군에 입대한 이들의 절반 이상이 전선에 투입 후 평균적으로 5개월이 채 안되는 짧은 기간 안에 전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공개적으로 확인 가능한 전사자 중 5분의 1가량은 전장에서 두 달도 버티지 못했다.
보고서에는 러시아군 장병들이 휴가를 받지 못해 제대로 휴식을 취하지 못하고 있다는 내용도 담겼다. 아이스토리스와 CIT는 "징집된 많은 장병이 11개월 동안이나 복무했는데도 한 번도 집에 돌아가지 못했다고 불평하고 있다"며 "일단 동원되고 나면 참전을 거부할 수 없으며, 탈영 시 적용되는 형사처벌 수준도 강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러시아가 군인들에게 휴가를 부여하지 않는 이유는 휴가를 떠난 이 가운데 절반만 복귀할까 봐 두렵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러시아에서는 러시아군 명예훼손 방지법에 따라 전사자 규모를 언급할 경우 처벌받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정확한 전사자 수는 알려지지 않고 있으며, 러시아 당국이 공개적으로 인정한 전사자 수는 6000여 명에 불과하다.
그러나 지난 19일 뉴스위크는 러시아 독립 뉴스 매체인 베르스트카를 인용해 러시아군 전사자가 최대 23만 명에 이를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러시아 국가 조달 포탈에 게시된 데이터를 인용해 노동·사회보장부가 사망한 퇴역 군인 가족을 위한 증명서 23만 장을 주문했다고 전했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