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미국에서 최근 추락한 스텔스 전투기 F-35B가 조종사 없이 100㎞가량 비행한 것은 조종사 보호 기능 때문이라고 미국 해병대가 21일(현지시간) 밝혔습니다.
AP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미 해병대는 이날 사고기가 비상 상황에서 조종사를 보조하는 비행 통제 소프트웨어 덕분에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시골에 추락하기 전까지 60마일(약 100㎞)을 홀로 날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과도한 중력가속도에 일시적으로 정신을 잃는 등 상황에서 사고를 막기 위해 탑재한 일종의 자동조종 기능 때문에 조종사가 비상탈출한 뒤에도 곧장 추락하지 않았다는 이야기인데요.
해병대는 "이것은 조종을 할 수 없게 되거나 상황 인식을 하지 못하는 조종사들의 생명을 구하기 위한 기능"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F-35B 전투기의 위치 파악에 애를 먹은 원인으로는 비밀 통신 삭제 기능을 지목했습니다.
해병대는 "항공기는 보통 레이더나 트랜스폰더(전파송수신기) 코드를 통해 추적된다"며 "(F-35B에서) 조종사가 탈출하자마자 이 전투기는 모든 비밀 통신을 삭제하도록 설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으로 보시죠.
제작: 김건태·안창주
영상: 로이터·미 국방부 영상정보배포시스템·미 공군 유튜브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