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재계와 국회 등에 따르면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다음 달 10일 열리는 농림축산식품부 국정감사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 회장 등 19명의 재계 인사를 증인으로 신청했다.
![]() |
(왼쪽부터)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 대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기업 최고경영자(CEO)와 임원들도 줄줄이 증인으로 소환됐다. 김영섭 KT 대표, 장동현 SK 부회장, 장재훈 현대차 사장, 정기섭 포스코홀딩스 전략기획총괄사장, 최은석 CJ제일제당 대표,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홍은택 카카오 대표 등이 대상이다.
재계는 농어촌기금을 내겠다고 약속한 적이 없고 정치권이 납부를 강요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지적한다. 재계 관계자는 “한·중 FTA 체결로 기업은 돈을 벌고, 농어촌 주민은 피해를 보니 기업이 돈을 내라는 것인데 현재 중국 사업은 망하기 직전”이라며 “애초에 재계가 얼마를 부담하겠다고 약속한 적도 없다”고 말했다.
한국 기업의 대(對)중국 사업은 처참한 상태다. CEO스코어에 따르면 지난 6년간 한한령(한류 금지령)으로 국내 대기업의 중국 생산법인이 매각하거나 청산한 법인은 46곳(매각 30곳·청산 16곳)에 달한다.
세계 스마트폰 점유율 1위 삼성전자는 2013년 중국에서 시장 점유율 20%로 정점을 찍은 뒤 수년째 점유율이 1% 미만에 머물러 있다. 현대차그룹도 지난해 1%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현대차는 베이징 1공장에 이어 충칭 공장도 매각했다.
LG전자는 중국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부품 공장과 주방용 히터 부품 생산공장을 청산했다. GS칼텍스는 수년째 적자가 나던 중국 윤활유 생산·판매업체 GS루브리컨츠의 지분 전량을 청산했다. 롯데는 중국에서 한때 백화점을 다섯 개까지 운영했으나 모두 철수했다.
박성우 기자(foxpsw@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