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대책은 민간ㆍ공공주택 공급 시기 당길 방안 구상
![]() |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21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주최 초청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21일 “농지 이용 대전환을 생각할 때가 됐다”고 말했다. 농·산·어촌에 대해서는 1가구 1주택 규제를 풀어야 한다는 발언도 내놨다.
원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초청 토론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원 장관은 “지금은 쌀을 생산하면 매년 재정으로 2조∼3조 원씩 사다가 억지로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면서 “국토를 좀 더 넓게, 복합적으로 쓰고 이에 대해선 다른 보상을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부동산 시장 상황에 대해선 “전반적 반등이라기보다 특정 지역, 최고가 시장을 중심으로 한 구매 현상”이라고 진단했다. 앞으로 정책 방향은 ‘하후상박’ 정책을 예고했다.
원 장관은 “전국의 부자들이 다 모인 특정 지역에서 집 투자에 뛰어들기 위한 금융을 풀어줘선 안 된다”며 “금융은 오늘 아껴서 5년 뒤, 10년 뒤 집을 사겠다는 실수요자에게 혜택이 주어져야 하며, 나머지는 시장에 맡겨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 강남 부동산에 대해선 “억지로 잡을 방법은 없지만 잘 관리해나가는 식으로 할 것”이라며 “국민에게 ‘미래 이 가격에는 집을 살 수 없다’는 불안 심리가 불붙지 않게 하려면 공급을 늘리고, 시세보다 30% 낮은 공공분양 주택을 공급하는 중장기 계획에 역점을 둘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음 주 초 발표하는 공급 대책의 핵심은 부동산파이낸싱(PF) 유동성 확대와 공공부문의 주택 조기 공급이라고 설명했다.
원 장관은 “우리(국토부)가 책임질 부분은 3년 뒤 공급이다. 건설 비용이 오르고 PF는 묶여있다가 보니 건설 회사들이 (주택공급에) 뛰어들지 않고 서로 눈치를 보기에 위험 부담은 줄이고 비용은 흡수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민간 부분의 공급을 푸는 데 주력하고 있지만,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신도시를 비롯한 공공 공급을 당기는 방안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에 대해선 “GTX-A 노선의 내년 1분기 내 개통이 목표”라며 “A·B·C 노선을 착공하고 D·E·F 노선 계획을 올해 말, 내년 초에 확정해 발표하면 수도권 끝에서 끝까지 1시간에 주파하는 새로운 시대를 열게 된다”고 했다.
[이투데이/정용욱 기자 (dragon@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