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가 소녀상이다” 가면시위하는 카셀대 학생들. 카셀대 학생들과 시민들이 소녀상 가면을 쓴 채 빼앗긴 평화의 소녀상을 되착기 위한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 연합뉴스 |
평화의 소녀상 ‘누진’을 세웠다가 기습 철거당한 독일 카셀 주립대 학생들과 시민들이 “내가 누진이다”라면서 소녀상 가면을 쓰고 시위에 나섰다.
카셀대 학생들과 시민 50여명은 지난 2일(현지시간) 소녀상 가면을 쓰고 독일 카셀중앙역 앞에 모였다. 이들은 ‘누진은 어디에(Where is Nujin?)’, ‘누진을 구하라(Save Nujin)’라고 적힌 티셔츠를 입고 있었다.
빼앗긴 평화의 소녀상을 되찾기 위해 스스로 소녀상으로 분한 이들은 중앙역에서 시작해 쾨니히스 플라츠와 시청 등 2시간여 동안 도심을 행진하며 게릴라 퍼포먼스를 펼쳤다.
이번 행사를 공동기획한 카셀대 미대에 따르면 퍼포먼스에는 소녀상에 관한 워크숍에 참여한 학생들과, 총학생회, 매주 수요일 소녀상 누진이 있던 자리에서 집회를 열고 있는 시민들과 재독한인 등이 참여했다.
카셀대 미대 재학생인 코리는 “소녀상을 통해 한국의 역사뿐 아니라 지금도 우크라이나나 아프가니스탄 등에서 여성을 상대로 벌어지고 있는 전쟁범죄에 대해 알리고 싶었다”고 말했다.
카셀대 졸업생인 이단 작가도 “평화의 소녀상이 기습 철거됐는데 너무 화제가 되지 않아 우리 모두가 소녀상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참여함으로써 정보가 확대될 수 있도록 퍼포먼스를 기획했다”고 말했다.
카셀대 학생들은 앞으로도 학교 안팎에서 여러 형태로 게릴라 퍼포먼스를 이어 나가기로 했다. 각자 작업한 관련 작품도 전시할 계획이다.
카셀대 총학생회는 지난해 7월 카셀에서 5년 마다 열리는 세계적인 국제현대미술전시회 ‘도큐멘타’ 기간을 맞아 총학생회 본관 앞 신축공원에 평화의 소녀상을 영구 설치했다. 독일 대학 캠퍼스 내 첫 설치 사례로, 총학생회는 이를 위해 학생 의회에서 소녀상 영구존치 결의안을 통과시켰고, 부지 사용에 대해 대학 측의 허가를 받았다.
그러나 지난 3월 9일 카셀대에 설치된 소녀상이 기습적으로 철거됐다. 카셀대 측은 도큐멘타가 끝나 전시허가 기간이 만료됐다는 이유를 들었다. 일본 정부는 카셀대 총학생회 주도로 소녀상이 설치된 직후부터 지속적으로 철거를 압박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최서은 기자 cielo@kyunghyang.com
▶ 무슨 옷 입고 일할까? 숨어 있는 ‘작업복을 찾아라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