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소영 “당내 민주주의 실종 경험… 회복 못하면 혁신 못해”
![]()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운데)가 9일 국회에서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송의주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투데이 이하은 기자 = 양소영 더불어민주당 전국대학생위원장이 민주당 내에서 민주주의가 실종됐다고 지적하면서 다양성을 훼손하는 행태를 끊어내고 당내 민주주의를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 위원장은 9일 국회에서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한 달 전 전국대학생위원회는 당내 혁신 촉구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2030 청년 세대가 더 이상 민주당을 떠나지 않도록 막고 싶었기 때문"이라며 "하지만 기자회견 이후 수많은 사람들에게 무차별적인 비난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전국대학생위원회가 외친 목소리는 내부 총질로 폄하됐다. 함께 목소리를 낸 시·도당 대학생위원장들은 여전히 지역 당원들의 비난 대상으로 낙인찍혀 있다"며 "당내 민주주의가 실종된 것을 직접 경험하게 된 시간"이라고 전했다.
앞서 민주당 전국대학생위원회와 17개 시·도당 대학생위원회는 지난달 12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거액의 가상자산 보유 논란으로 민주당을 탈당한 김남국 무소속 의원을 비판하고 당의 혁신을 촉구했다. 이후 기자회견에 참여한 양 위원장을 비롯한 정년 정치인들은 이재명 대표의 측근인 김 의원을 옹호하는 강성 지지층의 공격 대상이 됐다.
양 위원장은 "다양한 목소리를 내부총질이라 규정하고 동료라는 말은 수박이라는 멸칭으로 변모했다"며 "현재의 민주당은 올바른 목소리를 허용하지 않는다. 자기 편을 지키기 위해서는 잘못도 정의라 둔갑해 버리고, 옳은 말을 하더라도 우리의 편이 아니면 틀린 말이라고 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다른 문화를 수용하고 관용하는 문화는 사라진 지 오래"라며 "그러는 사이 한쪽으로 경도된 목소리가 당을 지배하고 특정 정치인들은 이를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양 위원장은 "당내 민주주의를 회복하지 못한다면 민주당의 혁신은 한 발자국도 나아가지 못한다.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정당으로 변화하지 못할 것"이라면서 지도부를 향해 "다양성을 훼손하고 당내 분열을 추동하는 행태를 단호하게 끊어내는 데 힘써 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혁신 기구의 역할과 관련해서도 "새롭게 구성될 혁신 기구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정당 내 민주주의 회복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양 위원장은 "보다 다양한 구성원들이 혁신 기구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특정 정치인과 계파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것이 아니라 민주당에게 부족한 점을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혁신기구가 되어야 한다"며 "동료를 수박이라고 멸칭하는 인사들은 혁신 기구에서 배제되어야 한다. 국민의 관심사가 아닌 대의원제 폐지는 혁신 기구의 주요 의제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양 위원장은 그러면서 "민주당이 그저 권력만 추구하고 중요한 사안에 입 다물라는 정당이 아니라 다양한 목소리를 관용하고 포용하는 정당이라는 것을 널리 알리고 싶다"며 "특정 목소리에 휘둘리는 정당에서 벗어나 국민 눈높이에 맞는 정당으로 변화해야 한다. 다양성을 존중하는 정당으로 거듭나게 해 달라"고 촉구했다.
이와 관련해 이 대표는 "당연한 이야기"라는 반응을 보였다.
이 대표는 이날 확대간부회의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양 위원장의 발언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에 "당내 민주주의를 확대해야 한다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라며 "정당이 다양성을 본질로 하기 때문에 각자 자신의 의견을 정당하게 표명하고 또 그에 대해서 반론하는 것은 너무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답했다.
그는 "당내에 문자폭탄이나 폭언, 이런 표현에 대해서는 조사를 하고 그에 대해 상응하는 조치를 하는 기구가 있다"며 "과도한 표현이나 이런 문제에 대해서는 당에 신고하면 그에 적절한 조치를 할 것이고 이미 제명조치까지 한 사례가 있으니 그 점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