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中 리오프닝 효과 없었다” 올해 한국 수출 성장률, 1.2%→0.1%로 ‘암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경연 경제동향 보고서

수출 성장률 전망치 1.2%→0.1%로 급감

“중국 리오프닝 효과 지연 영향…더 낮아질 수도”

헤럴드경제

부산항 일대가 안개로 말미암아 뿌연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민지 기자] 올해 한국 수출 성장률이 고작 0.1%에 그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중국 리오프닝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당초 전망치보다 크게 하향 조정됐다. 하반기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면 더 악화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다.

8일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KERI 경제동향과 전망: 2023년 2/4분기’ 보고서를 통해 “금리급등에 따른 소비여력 감소와 주요국의 경기불황으로 인한 대외부문 부진 등의 영향으로 올해 경제성장률을 기존 1.5%에서 0.2%포인트 하향한 1.3%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고금리로 소비 및 투자의 위축흐름이 지속되는 가운데, 기대했던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가 지연되는 영향이 컸다. 한경연은 올해 한국 수출 성장률이 고작 0.1%에 그칠 것으로 봤다. 당초 전망치인 1.2% 보다 무려 1.1%포인트 낮은 수치다.

이승석 부연구위원은 “올해 성장률 전망의 최대 상방요인이었던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가 기대치에 미치지 못함에 따라 수출부진이 심화되고, 이로 인해 내수부문마저 위축되고 있다”며 “하반기 이후에도 리오프닝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는다면 성장률은 더 낮아지게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부연했다.

내수부문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민간소비는 2.1%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2022년 민간소비 성장률 4.3%보다 2.2%포인트 낮은 수치다.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여 왔던 민간소비는 상반기를 경과하며 물가급등 및 경기둔화에 대한 불안감으로 소비심리가 약화됐다. 자영업 부진이 장기간 지속되면서 소득기반이 약화된 데다, 금리인상으로 가계부채원리금 상환부담마저 급등하며 소비여력이 크게 줄어든 것이 주요 요인이다.

설비투자는 주요국의 경기회복세 약화에 따른 대외수요 감소의 영향으로 -3.6% 역(逆)성장을 기록할 전망이다. 금리인상에 따른 자본조달 비용의 상승도 설비투자 제한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부진을 지속해 온 건설투자는 공공재개발 등 정부주도의 건물건설 증가에도 불구하고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공사차질과 부동산PF발(發) 불확실성의 영향으로 -0.5% 역(逆)성장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22년 5.1%보다 1.7%포인트 낮아진 3.4%로 전망됐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전기·수도·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에도 불구하고 국제유가 등 주요 원자재 및 에너지 가격의 빠른 안정화에 따른 결과다.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경기불황에 따라 소득기반이 크게 약화된 가운데, 고금리로 민간부채에 대한 연체율이 급등하기 시작했다”며 “정부의 정책여력이 이미 소진된 가운데, 부채리스크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자칫 경기불황이 경제위기로 발화(發火)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jakmeen@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