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8 (목)

주요국 중 수익률 꼴찌인데 중국 펀드로 왜 돈 몰릴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초 이후 中펀드 수익률 -6%로 최하위

자금 유입 규모는 가장 많아…부양 기대감 작용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로 굳게 잠겨있던 중국의 빗장이 열렸지만 경제 활력을 되찾지 못하면서 주요국 가운데 펀드 수익률마저 꼴찌를 기록하고 있다. 기대했던 정부의 강한 부양책이 나오지 않아서인데, 투자자들은 여전히 중국 정부의 '한방'을 기다리며 펀드로 중국 증시를 노크하는 모습이다.

9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 해외주식형펀드 중 중국 주식에 투자하는 196개 펀드(ETF 제외)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6.41%로 국가별 주식 펀드 중 가장 낮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해외주식형펀드의 평균 수익률인 -2.84%를 크게 하회하는 수치다. 다른 국가에 투자하는 펀드들은 대부분 플러스 수익을 보였다. 북미권역에 투자하는 펀드가 28% 수익을 올렸고 일본(18.8%), 브라질(11.2%), 유럽(10%), 러시아(9.4%), 베트남(9%), 인도(5%) 순이었다.

미국을 비롯해 다른 국가의 경우 올해 들어 지수가 우상향 흐름을 보였지만, 중국 홀로 우하향 흐름을 보이면서 성과에 차이를 보였다. 미국 S&P500지수는 올해 들어 전일까지 12%, 나스닥종합주가지수는 27%, 일본 토픽스지수는 16% 급등했다. 이와 달리 상하이종합주가지수는 연초 이후 2.6% 상승하는 데 그쳤다. 최근 한달 동안에는 6% 넘게 지수가 빠졌다.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이후 중국 경기가 예상만큼 살아나지 않자 기다림에 지친 투자자들의 이탈이 커진 영향이다. 여기에 중국 정부의 부양책 발표도 미뤄지면서 외국인 투자자들도 발을 빼는 모습이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홍록기 키움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경기 정상화에 대한 앞선 기대감이 오히려 독으로 작용한 것”이라며 “미·중 갈등을 피하기 위해 중동과 협력을 강화한 석유(국영)기업을 제외하곤 느린 소비 회복세와 미국과의 반도체 갈등으로 소비재와 기술주는 상승분을 대부분 반납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투자자들의 돈은 중국으로 향하고 있다. 연초 이후 해외주식형펀드 중 가장 많은 자금이 유입된 국가는 중국으로 5200억원이 들어왔다. 같은 기간 북미지역에선 5630억원의 자금이 순유출됐고, 일본 시장에선 420억원이 빠져나갔다. 최근 3개월 기준으로 보아도 중국에 들어온 돈이 297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최근 1개월(1617억원)·일주일(300억원)에도 다른 국가 대비 자금 유입 규모는 압도적이었다. 북미지역이나 일본, 유럽 등 국가의 경우 연초 이후 지수가 오름세를 보이면서 차익실현을 하려는 투자자가 늘었지만, 중국의 경우 지수가 하락하면서 쌀 때 미리 주식을 사두려는 투자자가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

펀드별로 보면 연초 이후 ‘피델리티차이나컨슈머펀드’를 153억원어치 샀다. ‘피델리티차이나펀드’(89억원), ‘미래에셋차이나H레버리지2.0펀드’(37억원), ‘미래에셋차이나과창판펀드’(28억원), ‘미래에셋차이나H인덱스펀드’(24억원) 순으로 투자자 유입이 많았다.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사들인 피델리티차이나컨슈머펀드는 중국과 홍콩 증시에 상장한 소비재 기업에 투자한다. 중국의 경제 부양책으로 소비가 크게 늘 것이란 전망에 돈이 몰렸다. 그러나 상반기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등 경제 활력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펀드에 포함된 연초 이후, 최근 3개월 수익률은 각각 -9.6%, -10.5%로 평균 수익률을 밑돌았다.

전문가들은 하반기 중국 시장이 나쁘지 않다고 내다본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5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48.8(위축국면)로 3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하면서 중국 정부 개입의 필요성이 대두됐기 때문이다. 박수현 KB증권 연구원은 “5월 PMI로 확실해진 점은 하반기 내수와 수출경기 모두 기대감이 낮고 고용시장은 여전히 부진하다는 것”이라며 “이런 흐름이 이어질 경우 통화와 부동산 지원 정책을 통해 내수경기를 부양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 지방 정부별로 주택시장 완화 정책을 발표할 것이란 이야기도 나온다.

다만 단기적인 접근은 위험하다. 중국 정부가 내수 부양에 나선다고 하더라고 수익률로 바로 연결되진 않을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또 생각만큼 강도 높은 부양책이 나오지 않는다면 실망감이 더 커질 수 있다. 박 연구원은 “부양책을 발표하더라도 효과가 나타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며, 고용시장 회복을 기반으로 소비 경기가 반등해야 중국 주식 저평가 해소로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최설화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중국 정부 입장에선 시장 기대에 비해선 약하지만 연초에 설정한 5%의 성장률 목표를 상회하고 있는 만큼 서두를 필요가 없을 수 있다”며 “자금의 여력을 보아도 1선 도시의 부동산 규제 완화를 포함한 강도 높은 부양책을 내놓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민지 기자 mi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