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용산구청장, 석방 다음날 몰래 출근…이태원 유가족 “철면피 태도”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유가족 도착 전 출근한 박 구청장에

“최소한 양심 있다면 자진 사의해야”

시민대책위, ‘출근 저지’ 방문 계획

경향신문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이 8일 오전 서울 용산구청에서 전날 보석으로 석방된 박희영 용산구청장의 출근을 막으려 구청장실에 진입하려 했으나 잠긴 문에 가로막혀 있다. 문재원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태원 핼러윈 참사’ 부실 대응으로 구속돼 재판을 받아오다 보석으로 풀려난 박희영 용산구청장이 석방 이튿날인 8일 곧바로 구청장실로 출근했다. 유가족과 시민들은 강력 반발하며 박 구청장의 사퇴를 촉구했다.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와 시민대책위는 이날 서울 용산구 용산구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박 구청장은 지자체장으로서 제대로 된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지도 않고, 허위 보도자료를 만들고, 공소사실을 모두 부인하는 철면피 같은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최소한의 양심이 남아있다면, 감당할 수 없는 공직을 내려놓고 자진해서 사의를 표하라”고 밝혔다.

유가족 40여명은 이날 오전 8시쯤, 박 구청장의 석방 후 첫 출근을 막기 위해 용산구청 종합민원실 앞과 주차장 앞으로 모였지만 박 구청장을 만나지 못했다. 박 구청장은 유가족이 현장에 도착하기 전에 출근한 것으로 전해졌다.

오전 8시20분쯤, 유가족들은 박 구청장에게 사퇴 요구 의사를 전하기 위해 용산구청 구청장실 앞 복도로 들어갔다. 구청장실로 통하는 복도 문은 잠겨 있었다. 이들은 구청장실 문을 열어달라며 구청 직원들과 30여분 간 실랑이를 벌이다 구청장실 문에 A4용지 두 장 분량의 ‘사퇴 촉구문’을 붙이고 건물 밖으로 나와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유가족협의회·시민대책위는 “박 구청장은 어제 구치소를 나서는 길에 유가족에게 사과 한마디 없이 줄행랑을 쳤다”며 “참사의 책임을 져야 할 사람이 자리에 남아 책임을 부정하고 외면해서는 용산 주민들의 안전한 미래도, 진정한 의미에서의 지역 회복과 화합도 불가능하다”고 했다.

희생자 고 신애진씨의 어머니 김남희씨는 “(박 구청장) 보석 소식에 잠을 이룰 수 없었다”며 “인파밀집 위험상황을 인지했음에도 안전조치를 하지 않고, 인파밀집 처리 주무관에게 대통령 비판 전단을 제거하라고 명령하고, 참사 발생 후 매뉴얼대로 대응한 양 거짓 홍보자료 내보낸 박 구청장의 행위가 총체적인 안전 부실의 원인이 됐다”고 말했다. 이어 “구속 전 구청 직원을 통해 수사 동향에 대해 수시로 보고받고 구속 전 ‘알박기’ 인사를 단행했는데, 풀려나면 다른 직원들과 말 맞추기를 하지 않을 것이라 누가 믿을 수 있겠나”라고 했다.

경향신문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와 시민대책회의 관계자들이 8일 시민 합동분향소가 마련된 세종대로 시청 앞 서울광장을 출발해 참사 진상규명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며 국회가 있는 여의로로 행진을 하고 있다. 권도현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오전 10시29분 유가족 20여명은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는 ‘159㎞ 릴레이 행진’을 앞두고 중구 서울광장 분향소에 모여 묵념했다. 이들은 “행정안전위원회는 6월 중 특별법을 처리하라”고 외친 뒤 국회가 있는 여의도 방향으로 약 8.8㎞를 지나는 행진을 시작했다.

송진영 유가족협의회 대표 직무대행은 행진 중 시민들을 향해 “이태원 참사 특별법이 국회의원 183명 동의를 받아 국회에 올라가 있지만 본회의에 상정되지 못하고 한 발도 진전되지 않고 있다”면서 “국회의원들의 진심 어린 동참을 요구하고자 행진을 시작했다. 이태원 참사 같은 현상은 여러분들의 관심과 동참만이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시민 25여명도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며 행진에 동참했다. 서울 관악구에서 온 김지은씨(61)는 “오늘 아침 용산구청장이 멀쩡히 출근했다는 뉴스를 봤다”면서 “유가족들이 얼마나 분통 터질까 공감이 돼 행진에 나오게 됐다”고 했다. 용산구에서 온 김모씨(62)는 “(박희영) 구청장은 공황장애라고 풀려났는데, 진짜 피해를 본 유가족들은 이렇게 (거리로) 나와 있는 상황이 안타깝다”면서 “희생자 또래의 자식 둘을 가진 입장에서 행진에 나오지 않을 수 없었다”고 했다.

유가족협의회·시민대책위는 박 구청장의 출근을 막기 위해 매일 아침 용산구청을 찾고, 이태원참사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기 위한 행진과 국회 앞 농성을 지속할 계획이다.

윤기은 기자 energyeun@kyunghyang.com, 김송이 기자 songyi@kyunghyang.com

▶ 삼성 27.7% LG 24.9%… 당신의 회사 성별 격차는?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