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매우 위험한 신호" 19살 변사체 부검하자 충격적 물질 검출

댓글 4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중앙포토



2021년 6월 서울의 한 지하철 역사 내 화장실에서 당시 19살이던 A군이 의식이 없는 채로 발견됐다. 병원으로 후송됐지만 끝내 숨졌는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부검 결과 A군 몸에서 합성마약 펜타닐이 검출됐다. A군의 사인은 펜타닐 급성중독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9월에는 B군(19)이 자신의 집 거실에서 엎드려 사망한 채 발견됐다. 국과수 부검 결과 B군 혈액에선 합성대마 성분과 함께 치사 농도의 MDMA(일명 엑스터시)가 나왔다.

마약사범이 급증하면서 변사체에서 마약류가 검출되는 사례도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6일 국과수가 국민의힘 김웅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부검 사체에서 마약류가 검출된 건수는 69건으로 집계됐다. 2021년 43건에서 1년 새 60.47% 늘었다.

변사 사건에서의 마약 검출 사례 증가는 ‘심각한 마약 확산 신호’라는 게 전문가 진단이다.

지난해 말 서울 용산에서 숨진 채 발견된 50대 남성의 경우 부검 결과 몸에서 마약 포장에 쓰인 것으로 추정되는 비닐뿐 아니라 포장 상태가 온전한 마약 등이 다량 발견되기도 했다.

마약을 삼켜 몸속에 숨겨 운반하는 ‘보디패커’(Body packer) 사례로, 한국인 보디패커가 확인된 건 처음이었다.

해당 남성의 사망 원인은 엑스터시 급성중독으로 확인됐는데 이 남성의 모발에선 마약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 마약 투약사범이 아닌 국내 유통을 위해 마약을 밀반입한 운반책일 가능성이 높다고 경찰은 봤다.

부검 사체에서 검출되는 마약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다.

지난해 처음으로 변사체에서 헤로인이 검출됐으며, 2020년까지 한 번도 발견된 사례가 없던 합성대마는 2021년 이후 꾸준히 검출되고 있다.

‘좀비 마약’으로 불리는 펜타닐(7건)은 필로폰(49건)을 제외하고 가장 많이 검출됐다. 신종 마약 케타민도 2021년 2건에서 지난해 4건으로 증가했다.

국과수 관계자는 “현재 미국에서 10대 사망률 1위가 펜타닐 중독으로 인한 사망”이라며 “값싼 중국산 원료 공급으로 다른 마약류에 비해 접근이 쉽다 보니 펜타닐의 국내 유입 또한 증가 추세를 보이는데, 심각한 사회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부검 사체에서 신종 마약 검출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는 건 매우 위험한 마약 확산 신호”라며 “국과수 내 마약대응과를 신설해 신종 마약 탐색, 남용 현황 모니터링 등 마약 대응 기능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이지영 기자 lee.jiyoung2@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