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尹 “핵 기반 한미동맹 격상…대한민국, 공산주의 맞선 희생 위 서 있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억·예우” 강조…천안함 생존 장병들에 국가유공자 증서 수여

동아일보

윤석열 대통령이 6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8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추념사를 하고 있다. 2023.6.6 대통령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6일 현충일 추념사에서 “대한민국은 공산 전체주의 세력에 맞서 자유를 지켜내신 분들의 희생과 헌신 위에 서 있다”며 6·25 전쟁 전사자, 경찰·소방관 등 국민을 위해 헌신한 국가 영웅들에 대한 예우 의지를 밝혔다. 또 윤 대통령은 “‘워싱턴 선언’으로 한미동맹은 이제 ‘핵 기반 동맹’으로 격상됐다”며 강력한 한미동맹을 토대로 한 안보를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진행된 현충일 추념식에 참석해 “북한은 핵과 미사일 능력을 고도화하고 있으며, 핵무기 사용을 법제화했다”면서 “저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4월 미 핵 자산의 확장 억제 실행력을 획기적으로 강화하는 ‘워싱턴 선언’을 공동 발표했다”고 말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정부와 군은 어느 때보다 강력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철통같은 안보 태세를 구축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겠다”고 강조했다.

동아일보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6일 오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52묘역에서 6·25전쟁 전사자 故 김봉학 육군 일병의 유해를 안장하는 ‘호국의 형제’ 안장식에 참석해 영현병이 유해를 받는 모습을 지켜보고 있다. 고 김봉학 일병의 유해는 동생인 고 김성학 육군 일병 묘역에 합동 안장됐다. 형제는 6·25전쟁에 참전한 지 73년 만에 유해로 상봉했다. 2023.6.6 대통령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가보훈부가 아직 가족 품으로 돌아오지 못한 12만1879명의 6·25전쟁 전사자를 기억하기 위해 만든 ‘121879 태극기 배지’를 부착한 윤 대통령은 6·25 전사자, 군인·경찰·해경·소방 등 제복 입은 영웅들의 유가족들과 함께 서울현충원에 입장했다. 대통령실은 “정부가 국가를 위해 헌신한 영웅들의 유족을 최고로 예우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이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추념사에서 영웅·자유(8회), 기억(6회), 희생(5회) 예우·헌신(4회) 등의 단어를 여러 차례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국가의 품격은 국가가 누구를 어떻게 기억하느냐에 달려있다”며 “대한민국은 국민이 주인인 나라, 자유민주주의 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독립과 건국에 헌신하신 분들, 공산 전체주의 세력에 맞서 자유를 지켜내신 분들의 희생과 헌신 위에 서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현충일 추념사에서도 6·25전쟁을 ‘공산 세력 침략’이라고 재차 규정했다.

동아일보

윤석열 대통령이 6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8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천안함 생존 장병인 박현민 예비역 하사 등 5명의 국가유공자에게 증서를 수여한 뒤 박수를 보내고 있다. 2023.6.6. 대통령실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천안함 생존 장병인 박현민 예비역 하사 등 5명에게 국가유공자 증서를 직접 수여했다. 추념식에는 김명수 대법원장, 최재해 감사원장,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 국무위원, 김승겸 합참의장 등 군 주요직위자, 이종찬 광복회장 등 중앙보훈단체장,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등 7000여 명이 참석했다.

전주영 기자 aimhigh@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