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가 다음 달부터 하루 백만 배럴 추가로 원유 생산을 줄이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사우디는 유가를 높게 유지하기 위해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OPEC 플러스 전체의 추가 감산을 원했지만, 다른 회원국들의 반대에 부딪혀 이 계획은 무산됐습니다. 이 영향으로 오늘(6일) 새벽 뉴욕 유가는 소폭 오르며 마감했습니다.
정희윤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압둘아지즈 빈 살만/사우디아라비아 에너지부 장관 : 7월 1일부터 100만배럴 감산을 시작합니다. (상황에 따라) 감산 규모가 더 늘어날 수도 있습니다.]
현지 시간 4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OPEC+ 정례 장관급 회의 이후 사우디아라비아가 추가 감산을 발표했습니다.
결국 러시아와 앙골라, 나이지리아의 할당량은 현재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됐습니다.
OPEC+는 회의 후 낸 성명에서 현재 감산 기한을 내년 말까지 연장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압둘아지즈 빈 살만/사우디아라비아 에너지부 장관 : 23개국 협의체로서 우리는 시장의 안정을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할 것입니다.]
유가가 배럴당 81달러 이상 유지해야 사우디 정부가 재정 적자를 면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이번 결정으로 뉴욕 유가는 소폭 상승했습니다.
현지 시간 5일 뉴욕상업거래소에서 7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장 중 한때 4% 넘게 치솟았지만, 결국 전날보다 41센트 오른 배럴당 72달러 15센트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가 다음 달부터 하루 백만 배럴 추가로 원유 생산을 줄이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사우디는 유가를 높게 유지하기 위해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OPEC 플러스 전체의 추가 감산을 원했지만, 다른 회원국들의 반대에 부딪혀 이 계획은 무산됐습니다. 이 영향으로 오늘(6일) 새벽 뉴욕 유가는 소폭 오르며 마감했습니다.
정희윤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압둘아지즈 빈 살만/사우디아라비아 에너지부 장관 : 7월 1일부터 100만배럴 감산을 시작합니다. (상황에 따라) 감산 규모가 더 늘어날 수도 있습니다.]
현지 시간 4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OPEC+ 정례 장관급 회의 이후 사우디아라비아가 추가 감산을 발표했습니다.
사우디는 당초 회원국 전반의 원유 생산 할당량을 하향 조정하려고 했지만 앙골라와 나이지리아 등 일부 아프리카 회원국이 반대하면서 회의는 4시간 넘게 지연됐습니다.
결국 러시아와 앙골라, 나이지리아의 할당량은 현재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됐습니다.
OPEC+는 회의 후 낸 성명에서 현재 감산 기한을 내년 말까지 연장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압둘아지즈 빈 살만/사우디아라비아 에너지부 장관 : 23개국 협의체로서 우리는 시장의 안정을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할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네옴시티 등, 탈석유 경제를 추진하는 사우디가 고유가를 유지하기 위한 전략을 택했다고 봤습니다.
유가가 배럴당 81달러 이상 유지해야 사우디 정부가 재정 적자를 면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이번 결정으로 뉴욕 유가는 소폭 상승했습니다.
현지 시간 5일 뉴욕상업거래소에서 7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장 중 한때 4% 넘게 치솟았지만, 결국 전날보다 41센트 오른 배럴당 72달러 15센트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정희윤 기자 , 원동주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