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아시아계-여성’ 美다양성 상징… ‘軍통수권자’ 역량 아직 물음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美 대선주자 인물탐구〈6〉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민주당)

바이든 재선땐 영향력 더 커져

안보 보폭 넓히며 차차기 겨냥

잦은 실언-낮은 지지율 걸림돌

동아일보

“미국 노동자가 번영할 수 있도록 모든 일을 다 하겠다.”

6일(현지 시간) 미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를 찾아 노동계 지도자를 만나는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59·사진)이 지난해 4월 같은 곳을 방문했을 때 한 말이다. 그는 이곳에서 2021년 11월 시행된 ‘인프라 투자 및 일자리법(IIJA)’의 성과를 설명하고 노동계 지지를 호소할 예정이다. 재선에 도전한 조 바이든 대통령은 IIJA를 최고 치적 중 하나로 내세우고 있다.

펜실베이니아주는 바이든 대통령의 고향이자 미 대선의 핵심 격전지여서 대통령 대신 그가 이곳을 방문한다는 것 또한 상당한 의미를 지닌다. 해리스 부통령이 2024년 대선의 당사자일 뿐만 아니라 2028년 대선에서는 직접 주자로 뛸 것이란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자메이카계 부친과 인도계 모친을 둔 그는 미 최초의 여성 부통령이자 아시아계 및 비백인 부통령이다. 고령의 백인 남성인 바이든 대통령이 4월 재선 도전 의사를 밝히면서 그를 다시 러닝메이트로 삼은 것 역시 여성, 소수계, 젊은층 유권자를 공략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바이든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하면 그의 나이와 건강 상태 등을 감안할 때 해리스 부통령의 입지와 영향력이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야당 공화당의 대선주자인 니키 헤일리 전 주유엔 미 대사 또한 최근 “내년 대선에서 바이든을 찍으면 해리스 대통령을 뽑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그에 대한 경계심을 드러냈다.

● 낮은 지지율에 軍 관련 행보 늘려

해리스 부통령은 최근 군 관련 행사에 종종 얼굴을 비추고 있다. 지난달 27일 여성 최초로 미 육군사관학교(웨스트포인트) 졸업식 연설자로 나섰다. 이틀 후에는 바이든 대통령의 백악관 집무실에서 찰스 브라운 합참의장 지명자, 마크 밀리 합참의장,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 등 군 수뇌부와 기념촬영한 사진을 소셜미디어에 올렸다.

이는 바이든 대통령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그가 대통령직을 승계해야 하는 상황에서 ‘과연 해리스가 백악관 주인에 적합한 인물인가’라는 미 정계의 의구심을 해소하려는 행보로 보인다. 여성인 자신이 최고 권력자가 돼도 ‘군 통수권자(Commander-In-Chief)’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음을 강조하려 했다는 의미다.

이는 해리스 부통령의 낮은 지지율과도 관련이 있다. 4월 말 CBS 여론조사에서 그에 대한 긍정 평가는 43%, 부정 평가는 57%였다. 취임 2년을 맞은 올 1월 로스앤젤레스타임스 조사에서도 호감도는 41%, 비호감도는 53%였다. 취임 초의 대중적 인기를 잃은 것이다. 워싱턴포스트(WP)는 집권 민주당 내에서도 그가 충분한 카리스마와 정치 역량을 지녔는지, 바이든 대통령의 재선 가도에 걸림돌이 되진 않을지 우려가 나온다고 전했다.

● 잦은 실언으로 정치 역량에 물음표

낮은 지지율에는 취임 후 잦은 실언 등이 영향을 미쳤다. 2021년 6월 중남미 과테말라를 방문했을 때 불법 이민자를 향해 “미국에 오지 말라”고 해 논란이 됐다. 바이든 행정부의 메시지와 다른 데다 ‘이민자의 딸’이 할 소리는 아니라는 비판이었다. 지난해 9월 한국을 방문해선 “북한(Republic of North Korea)과의 동맹은 굳건하다”고 했다.

올 3월 ‘여성의 달’ 연설에서는 “역사상 역사를 만든 여성들을 기려야 한다”고 해 ‘놀라운 어휘 중복’이라는 비판도 받았다. 열악한 근무 환경, 소통의 어려움, 적은 진급 기회 등으로 부통령실 직원이 무더기로 사임한 적도 있다.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964년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에서 태어난 그는 흑인 전문 교육기관인 수도 워싱턴의 하워드대, 캘리포니아 헤이스팅스대 로스쿨을 거쳐 법조인이 됐다. 캘리포니아 최초의 비백인 여성 법무장관, 상원의원 등을 거쳤다. 2014년 유대계 변호사 더글러스 엠호프와 결혼했고 남편이 첫 결혼에서 낳은 두 자녀를 공동 양육하고 있다.

윤다빈 기자 empty@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