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늘어가는 ‘악성 미분양’… 수도권 1649가구로 1년 만에 3배 급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른바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서울 등 수도권에서도 쌓이고 있다. 업계에서는 악성 미분양이 쌓일수록 그 악영향이 시행사, 시공사 등으로 파도처럼 퍼져나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5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4월말 기준 전국 준공 후 미분양은 8716가구로, 전달(8650가구) 대비 0.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 6978가구와 비교하면 1년새 24.9% 늘어난 것으로, 2021년 6월 이후 22개월 만에 최대치다.

지난 1년 간 지방보다 수도권의 준공 후 미분양 증가폭이 더 컸다. 지난 4월 기준 수도권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1649가구로, 작년 동월(582가구) 대비 3배 가까이 증가했다. 같은 기간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6396가구에서 7067가구로 10.5% 늘었다.

서울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지난 4월 기준 389가구로 집계됐다. 전달(392가구)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작년 4월 서울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40가구였던 것과 비교하면 불과 1년 새 10배 가까이 늘었다.

자치구 별로는 강서구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 규모가 126가구로 가장 많았았다. 작년 11월 후분양으로 1순위 청약을 진행했던 ‘화곡 더리브 스카이’의 미분양 물량 126가구가 반영된 결과다. 이 단지는 총 140가구 규모인데, 전체의 90%가 미분양 주택으로 남아있다.

다른 수도권 지역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작년 4월 138가구였던 인천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지난 4월 492가구로, 경기는 404가구에서 778가구로 증가했다. 각각 작년 대비 256.5%, 92.6% 증가한 수준이다.

업계에서는 준공 후 미분양이 느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준공 후 미분양이 늘어날 수록 시행사와 시공사 등이 공사 대금을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현금 유동성이 약한 중·소 건설사들은 그 피해가 더 클 수밖에 없다.

실제 이미 일부 중·소 건설사들은 유동성 악화로 쓰러진 상태다. 올해 1분기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등록된 건설업 폐업 신고 건수는 총 939건으로, 분기 기준 최근 5년 대 가장 많은 수준이다. 지난달 31일에는 시공능력평가 113위의 신일이 자금회수로 어려움을 겪다가 서울회생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일각에선 현재 수준의 미분양 규모가 우려할 정도는 아니라는 평가도 나온다. 서울의 역대 최다 미분양은 지난 2013년 9월 4331가구다. 지난 4월 서울의 민간 미분양 규모는1058가구로, 2013년 9월의 24.4%다. 준공 후 미분양 주택 규모도 2013년 9월에는 808가구였지만, 지난달에는 389가구다.

고준석 제이에듀 투자자문 대표는 “준공 후 미분양은 현금 유동성이 악화된 건설사들에게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면서도 “지역에 따라 전월 대비 감소한 곳도 있고, 미분양이 최악 수준이었던 때와 비교하면 규모가 크지 않아서 심각하게 걱정할 수준은 아닌 것 같다”고 했다.

김송이 기자(grape@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