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K반도체 하반기 회복세 꿈틀…"미·중 갈등 줄타기 잘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하반기 스마트폰·서버용 반도체 수요 증가로 반등 가능

비즈워치

/그래픽=비즈워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반도체 수출 부진이 길어지고 있는 가운데 올 하반기부터 서서히 회복세에 들어설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인공지능(AI) 시장 확대로 빅테크 업체들이 고성능 반도체 수요를 높이고, 메모리반도체 감산 효과가 하반기부터 나타날 예정이기 때문이다. 다만 반도체를 둘러싼 미·중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는 점은 걸림돌로 작용될 전망이다.

스마트폰·서버 수요 감소에 위축된 반도체 수출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5월 수출입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반도체 수출액은 전년 대비 36.2% 감소하며 73억6700만달러(약 9조7340억원)를 기록했다. 반도체 수출 증가율 역시 지난해 8월 이후 10개월째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 전년 대비 수출 실적이 저조한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는 얘기다.

비즈워치

반도체 수출액 추이 / 그래픽=비즈워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반도체 분야 수출 실적 감소는 D램·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 가격 하락에 기인한다. 스마트폰 및 서버용 반도체 수요가 위축되면서 수출량이 대폭 감소한 영향도 있다. 중국의 리오프닝 정책에도 중국 내 스마트폰 수요가 크게 늘어나지 않은 데다, 글로벌 빅테크 업체들이 서버 증설 규모를 축소했기 때문이다.

스마트폰과 서버용 반도체는 국내 반도체 업체들의 수출 실적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분야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우리나라 반도체 수요구조의 특징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반도체 수출 중 스마트폰과 서버용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44%, 20.6%였다.

특히 서버용 반도체의 경우 미국의 의존도가 높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경우 미국과 중국 의존도가 각각 9.1%, 9%로 비슷했지만, 서버용 반도체의 경우 미국 의존도가 7.7%로 중국(5.1%)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마존, 구글 등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클라우드 시장에 진출하며 서버용 반도체 수요가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고금리로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서버 설비투자(CAPEX) 규모를 줄이면서 서버용 반도체 수요도 감소했다. 이에 시장조사업체 트랜드포스도 올해 글로벌 빅테크 업체의 서버 증가율을 6.9%에서 4.4%로 하향 조정했다.

하반기 회복기대…변수는 미·중 갈등

업계에서는 반도체 수출 실적이 상반기 부진을 딛고 하반기부터 서서히 회복세에 들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메모리반도체 가격이 바닥을 찍고 반등할 것이란 기대감과 함께 챗GPT 등 인공지능(AI)용 고성능 반도체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서다.

중국은 자국 기업의 메모리반도체 생산 비중이 작아 중국 IT제품 제조사들은 해외 반도체 기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때문에 중국 내 스마트폰 수요 회복은 국내 반도체 업체들의 수출 실적 개선으로 이어진다. 미국 내 서버 수요 역시 향후 디지털 전환, 인공지능(AI) 서비스 확대 고성능 서버를 중심으로 확대되는 추세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내 스마트폰 소비는 지난해 봉쇄조치의 영향으로 부진했지만, 리오프닝 이후 시차를 두고 점차 회복되면서 반도체 경기 부진을 완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챗GPT 출시 이후 서버용 고성능 반도체 수요가 늘고 있어 이 역시도 하반기 실적 회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메모리반도체 가격의 하락폭이 줄어들고 있다는 점도 하반기 전망을 밝게 하는 요인이다.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이달 PC용 D램 범용제품(DDR4 8GB) 평균 고정가격은 전월 대비 3.45% 하락한 1.4달러를 기록했다. 가격 하락세는 이어졌지만 지난 4월(19.89%) 대비 낙폭은 둔화했다. 이에 메모리반도체 가격이 바닥을 찍고 곧 반등할 것이라는 기대감도 나온다.

비즈워치

최근 1년간 D램 가격 추이 / 그래픽=비즈워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만 반도체를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갈등 상황은 변수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은 지난해 10월 이후 첨단 반도체 생산 장비의 중국 수출을 금지했다. 또 반도체 지원법을 통해 미국 정부의 보조금을 받은 기업이 중국 내 설비를 확장하지 못하도록 제한했다. 중국도 반도체 지원법에 대한 대응으로 미국 기업이 생산한 반도체 사용을 금지하며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는 상태다.

전문가들은 섣불리 미국과 중국 중 하나를 선택하기 보단 신중한 자세를 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종환 상명대 시스템공학과 교수는 "이 싸움은 정부 차원의 문제이기 때문에 정답이 있는 건 아니지만 현재로써는 어느 한쪽 편을 들어선 안된다"며 "중국은 포기할 수 없는 거대 시장이고, 미국도 시스템반도체 설계나 재료 등 여러가지 강점을 보유하고 있어 협력관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두 국가 사이에서 최대한 실익을 챙기고, 최대한 기술 개발에 힘쓰면서 상황을 장기적으로 지켜보는 자세를 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미국이나 중국 중에서 한 국가를 선택하게 되면 나머지 하나의 거대 반도체 시장을 잃을 가능성이 높아 선택이 쉽지 않은 상황"며 "현재 두 국가의 정부가 우리나라 정부나 기업들에게 공식적으로 요청한 내용은 없기 때문에 천천히 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그는 "미국과 중국 입장에서 국내 반도체 업계를 놓친다면 큰 타격이 될 것이기 때문에 국내 반도체 업체들은 각국 정부의 회유책을 잘 살펴보고 신중하게 결정해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비즈니스워치(www.bizwatch.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