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단독] 한글 단어에 수어만 연결 ‘반쪽 사전’… “유튜브 보고 배워요” [심층기획-말뿐인 공용어…설 곳 없는 한국수어(手語)]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하) 문화 빈곤 시달리는 수어 사용자

시각언어인 수어의 동적 특성 못 담아

안 쓰는 단어 ‘수두룩’… 유행어도 없어

단어 영상 제작 ‘新사전’ 내년 1차 완료

12년 장기 프로젝트… 담당인력 2명뿐

수어교원, 자격증 취득 목적 단기 양성

농인 30% “수어통역사 수어 이해 못해”

“수어도 하나의 공식 언어인데, 제대로 보고 배울 사전이 하나 없어요.”

한국수어사전은 2005년 종이사전으로 처음 편찬돼 2016년 웹사전으로 개통됐다. 하지만 수어를 일상어로 사용하는 농인들 사이에서는 수어사전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반쪽짜리’라는 비판이 지배적이다. 서울의 한 농학교 교사 최모씨는 “기존 수어사전은 시각언어인 수어의 동적 특성을 담지 못해 학생들이 잘 사용하지 않는다”며 “수어로는 ‘학교에 가다’라는 문장이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는데, 기존 사전에는 ‘학교’ 따로 ‘가다’ 따로 등록돼있어 수어 형태가 제한적”이라고 아쉬워했다. 농학교에 재학 중인 김모(19)양은 “수어사전에는 최근 유행어가 없다”며 “유튜브를 보거나 친구들한테 물어보면서 배운다”고 토로했다.

세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는 이 같은 지적을 감안해 2019년부터 수어의 발전과 보전을 위해 사전 편찬을 새로 시작했다. 31일 세계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립국어원은 2019∼20년 시범 편찬 작업을 거쳐 2021년부터 올해 말까지 기존 사전의 문제점을 보완한 새로운 한국수어사전의 1차 편찬 작업을 마무리한다. 하지만 해당 사업이 최종적으로 완성되기 위해선 연구 인력과 예산 확충이 절실하다.

◆농인 언어현실 담은 新수어사전

새로운 한국수어사전은 농인들의 다양한 발화에서 비롯한 세대별·지역별 말뭉치를 기반으로 제작된다. 실제 농인의 언어 현실에서 시작한 셈이다. 기존 수어사전은 음성언어를 쓰는 청인 중심의 시각에서 만들어져 농인들이 실제 사용하지 않는 단어들이 다수 담겨 있었다. 수어에서 아버지, 아빠, 부(父), 부친 등을 표현하는 방식은 한 가지인데, 사전에는 각각 따로 등재됐던 식이다.

새로운 수어사전을 제작하고 있는 이현화 국립국어원 연구사는 이러한 문제가 수어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연구사는 “청인은 수어에 ‘꼬불꼬불’이라는 단어가 없으니 새로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하지만 농인들은 ‘자동차가 꼬불꼬불 간다’를 말할 때 ‘자동차’라는 수어를 가지고 손의 역동적인 움직임으로 꼬불꼬불 가는 자동차를 표현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존 사전은 수어의 고유한 표현 방식을 담지 못하고 단순히 한국어와 수어를 일대일 매칭시킨 것”이라고 부연했다.

대학에서 수어통역사가 되기 위해 공부하고 있는 이다빈(20)씨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이 처음 터졌을 때 ‘코로나19’를 말하는 수어가 사람마다 달랐고, 사투리처럼 지역마다 사용하는 수어가 다른 경우도 있다”며 “표준형 수어라고 사전에 등재돼 있지만, 사전과 다르게 표현하는 사람들도 있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세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립국어원은 이러한 지적을 바탕으로 2021년부터 수어를 한국어로 풀어서 설명하는 ‘한국수어→한국어 사전’과 한국어를 수어로 풀어서 설명하는 ‘한국어→한국수어 사전’의 편찬 작업을 진행 중이다. 단어 모음집처럼 한국어에 수어를 연결만 시킨 기존 사전의 한계를 넘어, 단어가 사용되는 문장 예시와 동의어·반의어 등도 담고 있다. 시각 중심 언어인 수어 특성상 모든 수어 단어는 영상으로 제작된다.

문제는 예산과 연구인력이다. 한국수어사전 사업은 12년짜리 장기 프로젝트로, 국립국어원은 2021∼23년의 1차 편찬 이후인 2024∼26년에는 1차 편찬에서 제작한 단어 수(1000개)보다 3배 많은 3000개 단어를 제작해야 한다. 또한 2027∼29년·2030∼32년 두 번에 걸쳐서는 각각 5000개씩 총 1만개의 단어를 제작할 방침이다. 이처럼 수어 사전을 4차례에 나눠 개통하는 이유는 사용 빈도를 기준으로 당장 수요가 있는 수어 위주로 우선순위를 정해 개통하는 것이다.

세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국립국어원 수어사전 담당 인력은 2명이다. 근본적으로 연구 인력풀 확충부터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장기 사업인 만큼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것이다.

◆“자격증 초점”… 수어연구 인력난

현재 수어를 연구하고 교육할 전문 인력 양성과정은 양적으로도, 질적으로도 부실하다. 문체부가 지난 2월 발표한 ‘제2차 한국수어발전기본계획’ 등에 따르면 수어 관련 대학(2)·대학원(5)은 7곳뿐이다. 대부분 수어교원·통역전공으로, 수어를 언어학적으로 분석·연구하는 고등교육기관은 조선대 대학원 ‘수화언어학과’ 한 곳이다.

또한 정부는 한국수어 교육기관을 지정해 기반을 조성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수어 교육기관은 2017년 8개에서 지난해(10월 기준) 14개로 최근 5년간 6개밖에 늘지 않았다. 더욱이 이곳들은 주로 수어교원 단기양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어서 전문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

세계일보

장애복지학과 수어 통역을 공부하고 있는 대학생 이다빈(20)씨가 31일 취재진에게 수어 신조어를 소개하고 있다. 위쪽부터 ‘유튜브’(한 손으론 알파벳 Y, 다른 한 손으론 ‘보다’ 의미의 수어) ‘SNS상에서 좋아요’(‘좋다’·엄지모양·‘누르다’ 의미의 수어를 차례로)로, 사전에는 없지만 농인들이 의미에 맞게 만들어 사용하는 수어다. 내년에 1차 개통하는 새 수어사전은 농인의 언어생활에 기반한 말뭉치를 활용해 신조어나 유행어도 담을 예정이다. 서상배 선임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에 재직 중인 한 수어통역사 이모씨는 “배울 곳이 마땅치 않다 보니 수어 통번역 대학원에 입학하는 학생들이 수어를 모르는 상태에서 입학한다”며 “정작 통번역 기술을 배우기보단 단기간에 수어를 배워 자격증을 취득하는 데 수업이 맞춰져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영어·스페인어 등 타 언어 통번역과의 경우, 입학시험부터 해당 언어로 통번역 면접을 진행한다. 입학 이전에 해당 언어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전제하고, 대학·대학원 수업에선 전문적인 통번역 기술을 연마하는 식이다. 이씨는 “수어교육 과정은 알파벳도 모르면서 영어 통번역을 배우는 식”이라고 꼬집었다.

교육제도의 미흡한 지점은 농인들의 불만으로 이어졌다. 국립국어원의 2020년 ‘한국수어활용 조사결과’를 보면 응답자 10명 중 3명(30.4%)은 수어통역사의 수어를 어느 정도만 이해하거나 이해하지 못한다고 답했다.

한국수어학회장인 이준우 강남대 교수(사회복지학부)는 한국어 중심적 사고에서 수행됐던 수어 연구·교육의 방향 전환을 강조했다. 이 교수는 “한국어와 한국수어 모두에 능통한 농인과 청인 연구원이 한 팀으로 수어의 어휘와 구체적 용례를 쌓는 작업이 중요하다”며 “수어 자료를 수집하고 분류하며 관리하는 전문적인 상설 기구가 절실하다”고 촉구했다.

<관련 기사>

[심층기획-말뿐인 공용어…설 곳 없는 한국수어(手語)]

<상> ‘소리강요사회’ 속 외면받는 수어 교육

① [단독] 무늬뿐인 장애학생 통합교육, 특수학교 재학 절반은 전학생

https://www.segye.com/newsView/20230529509059

② ‘청능주의의 폐해’… 농인 95%가 10살 넘어 수어 배운다

https://www.segye.com/newsView/20230529509101

③ 전국 특수학교 192개교 중 농학교는 14곳 불과

https://www.segye.com/newsView/20230529509100

<중> 수어통역, 법만 만들고 예산은 나 몰라라

④ [단독] 한 달 800건 넘게 수어 통역도… 격무에 이직 빈번 농인만 속앓이

https://www.segye.com/newsView/20230530514742

⑤ TV자막 아바타수어 번역…예산 부족에 상용화 난항

https://www.segye.com/newsView/20230530514732

<하> 문화 빈곤 시달리는 수어 사용자

⑥ [단독] 한글 단어에 수어만 연결 ‘반쪽 사전’… “유튜브 보고 배워요”

https://www.segye.com/newsView/20230531516227

⑦ [단독] 청각장애인 10명 중 3명 “1년간 영화관람 못했다”

https://www.segye.com/newsView/20230531516226

<다하지 못한 이야기>

⑧ 침묵과 소리의 경계… ‘소리 없이 빛나는’ 코다(CODA)

https://www.segye.com/newsView/20230603504469

⑨ 농인 수어통역사를 아시나요?

https://www.segye.com/newsView/20230603505351

⑩ 0.0007%의 기회…장애인·비장애인 ‘같이’ 관람하는 ‘가치봄’ 영화 관람해보니 [밀착취재]

https://www.segye.com/newsView/20230604500189

김나현·윤준호 기자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