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이민자 출신 미국인 CEO
1993년 창업 후 게임산업 공략
AI 딥러닝 등 칩 생태계 확장에
30년 만에 '시총 1조달러' 달성
검은 가죽재킷 고수 파격 캐릭터
블룸버그 억만장자 34위에 등극
![]()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가 30일(현지 시간) 시가총액 1조 달러 클럽에 가입하며 실리콘밸리에서 새 역사를 썼다. 챗GPT발 인공지능(AI) 열풍의 최대 수혜 기업으로 꼽히는 엔비디아는 올해 들어 주가가 166% 넘게 폭등한 결과 이날 뉴욕 증시에서 장중 한때 시가총액 1조 달러를 넘어섰다. 애플·마이크로소프트(MS)·알파벳·아마존에 이어 역대 다섯 번째다. 챗GPT 등 생성형AI 구동에 필수적인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전 세계 시장에서 엔비디아가 90% 이상 공급하고 있기 때문이다. 엔비디아의 이 같은 ‘벼락 성공’에는 설립자 젠슨 황(60) 최고경영자(CEO)의 통찰력이 있었다는 평가가 나오며 전 세계가 그를 주목하고 있다.
1993년 서른 살에 엔비디아를 창업한 뒤 30년 만에 ‘시총 1조 달러 기업’으로 일궈낸 황 CEO는 대만 이민자 출신 미국인이다. 그는 열 살 때인 1973년 사회적 불안을 피해 홀로 텍사스 친척집으로 건너가 미국에서 학교를 다녔다. 그는 3년 넘게 인종차별을 당했지만 학업에 매진한 결과 오리건주립대 전기공학과에 입학하게 됐다. 황 CEO는 자신이 학사 과정을 마치던 1984년에 애플의 매킨토시 출시로 개인용 컴퓨터 시대가 열렸다며 “졸업하기에 완벽한 해였다”고 회고하기도 했다. 이어 그는 1992년 스탠퍼드대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한 뒤 반도체 기업 LSI로지스틱스와 AMD에서 중앙처리장치(CPU) 관련 개발자로 일하다 이듬해 동료 두 명과 함께 엔비디아를 설립한다. 그래픽 칩셋을 설계하던 엔지니어 커티스 프리엠, 전자기술 전문가 크리스 말라초스키와 황 CEO 세 명이 작은 아파트에 꾸린 벤처기업이 엔비디아의 시작이었다.
황 CEO는 게임 산업을 제패한 데서 멈추지 않고 모든 영역으로 GPU 활용 폭을 넓히기 시작했다. 2006년 병렬 컴퓨팅 플랫폼인 ‘쿠다(CUDA)’를 출시했고 2010년 GPU의 범용 연산인 GPGPU를 선보이며 칩 생태계를 확장했다. 이는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슈퍼컴퓨터, 암호화폐 채굴, AI 딥러닝, 자율주행 등 빅데이터를 신속히 처리해야 하는 차세대 산업 전반에 꼭 필요한 기술이었다. 이 기술은 곧 엔비디아의 급속 성장으로 이어졌다. 엔비디아 지분의 약 3.5%를 보유한 황 CEO의 재산도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났다. 31일 블룸버그 억만장자지수에 따르면 황 CEO의 재산은 연초부터 지금까지 160% 폭등해 약 360억 달러(약 47조 6280억 원)에 달한다.
이 밖에도 로이터통신은 반도체 생산을 아웃소싱으로 해결해 속도를 높이고 고성능 반도체 설계에 집중한 점 역시 그의 차별화된 전략이라고 분석했다. 황 CEO는 처음부터 제조 공장이 없는 반도체 회사를 구상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엔비디아는 대만 TSMC 등에 위탁생산을 맡겨 자본 지출 부담을 줄이고 있다. 도전과 혁신의 아이콘인 그는 실리콘밸리에서 ‘파격적인’ 캐릭터로도 유명하다. 검은색 터틀넥에 청바지 차림으로 각인된 애플 창업자 스티브 잡스처럼 그는 10여 년째 검은색 가죽 재킷을 고수해왔다. 엔비디아 주가가 처음으로 100달러를 넘겼을 때 어깨에 기업 로고 문신을 새긴 일도 잘 알려져 있다.
장형임 기자 jang@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