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제대로 다루지 못한다면 일자리 잃을 수도"
![]() |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29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컴퓨텍스' 박람회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타이베이=로이터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래픽처리장치(GPU) 전문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인공지능(AI)이 컴퓨팅 혁명을 이끌고 있다면서 AI 시대에는 누구나 창작자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황 CEO는 29일(현지시간)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정보기술(IT) 박람회 '컴퓨텍스 2023'의 개막 전 기조연설자로 나서 AI의 활용 가능성을 매우 높게 평가했다. 그는 "우리는 새로운 컴퓨팅 시대의 임계점에 서 있다"면서 "전 세계 거의 모든 컴퓨팅 및 클라우드 회사에서 채택한 가속 컴퓨팅과 생성형 AI 덕분"이라고 밝혔다.
황 CEO가 AI의 힘을 강조하는 것은 그가 이끄는 엔비디아가 최근 'AI 열풍'의 최대 수혜 기업이기 때문이다. 엔비디아의 주력 상품인 GPU는 그래픽 처리를 가속하는 연산 장치로, 주로 게임 등 3D 그래픽 프로그램의 구동을 돕는 역할이었으나 현재는 AI 개발에 쓰이면서 전 세계에서 수요가 치솟고 있다. 현재 AI용 반도체 시장에서 엔비디아 점유율은 90%에 이른다. 24일 공개된 엔비디아의 2∼4월 매출이 시장의 기대치를 크게 웃돌면서 주가도 치솟았다.
이날 황 CEO는 새로운 대용량 AI 슈퍼컴퓨터 'DGX GH200'를 공개하면서 구글 클라우드와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등 '초대형 AI'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는 기업들이 최초의 고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AI가 현실 공간을 가상에 재현하는 '디지털 트윈'과 결합하면 오프라인 공장 운영의 효율화 등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면서 제조업이 강한 대만의 기업인 청중을 향해 "그동안 구매를 하러 이곳에 왔지만 이제는 무언가를 팔러 왔다"고 말하기도 했다.
황 CEO는 전날인 28일 국립대만대 졸업식 축하 연설에서도 "AI를 제대로 다루지 못한다면 AI를 더 잘 다루는 사람에게 밀려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모든 산업을 AI가 혁신할 것이며 여러분은 지금 그 출발선에 서 있다"고 역설했다.
인현우 기자 inhyw@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