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울진 산불로 서식지서 쫓겨난 산양, 주변 지역 급증한 서식 밀도 어쩌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해 대형 산불이 발생하면서 산림 생태계가 파괴된 경북 울진 산양 서식지 외의 주변 지역에서 산양의 서식 흔적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 피해지역에서 쫓겨나온 멸종위기 포유류 산양들이 주변 지역에 밀집되고, 해당 지역의 산양 서식밀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면서 산양들이 먹이 부족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먹이를 구하기 어렵게된 산양들이 추가적으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로드킬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도 있다.

경향신문

경북 울진의 산불 피해지역에서 무인카메라에 포착된 멸종위기 포유류 산양의 모습. 녹색연합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녹색연합은 지난해 울진삼척 산불 이후 흔적 조사와 무인센서카메라 모니터링을 진행한 결과 산불로 크게 훼손된 주요 서식지 주변 지역으로 산양 서식 흔적이 늘어난 양상을 확인했다고 28일 밝혔다. 산양의 주요 서식지이자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인 울진 응봉산은 지난해 산불로 큰 피해를 입은 곳으로 꼽힌다.



녹색연합이 덕구온천에서 응봉산 정상 방향 산불 피해지를 중심으로 조사한 결과 원래 산양의 주요 서식지였던 곳의 주변 지역에서 1년 사이 산양 서식 흔적이 급격히 증가한 것이 확인됐다. 녹색연합은 산불 피해를 입지 않은 응봉산 삼척 지역을 중심으로 대형 분변자리를 포함하여 200곳이 넘는 서식 흔적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1년 사이 5배가량 늘어난 수치다.

또 벌목, 임도 보수 공사 등 산불 이후 인위적인 개입이 발생한 지역에서는 서식지 교란으로 인해 야생동물의 출현 빈도가 낮아졌다. 도로로 인한 로드킬 위험, 송전선로, 임도 등 산지 내 시설의 복구 공사로 인한 추가적인 서식지 훼손도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녹색연합은 이 같은 산양 서식지 변화상에 대해 정밀 조사와 연구가 시급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서식 밀집도가 높아져 다시 산양이 이동하는 경우를 고려해 주변 서식지 안정화와 로드킬 등의 위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경향신문

울진, 삼척의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내 산양 서식지와 산불피해지. 녹색연합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녹색연합은 또 자연회복이 진행 중인 산불 피해지의 경우 야생동물이 안정적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해당 구간의 탐방을 제한하는 등 대책도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여름철 집중호우와 태풍을 대비한 산사태 대책 마련도 시급한 상황이다. 이미 일부 전소 구간에서는 흙과 암반이 아래로 쏠리는 현상도 발생하고 있어 탐방객 안전을 위한 대책도 필요한 상황이다.

국내뿐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산불은 동식물 종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유엔환경계획(UNEP)은 2022년 산불에 대한 종합보고서를 통해 2030년까지 전 세계 대형 산불이 14%, 2050년까지 30%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다. 대형산불의 증가가 동식물의 멸종 위기를 가속화하는 또 하나의 거대한 위협요인이 된 것이다.

김기범 기자 holjjak@kyunghyang.com

▶ 삼성 27.7% LG 24.9%… 당신의 회사 성별 격차는?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