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北 '핵개발 지원설' 공장 근처서 기형아 출산 등 의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 싱크탱크 CSIS, 압록강변 '만포 운하공장' 논란 분석

연합뉴스

2010년 만포시 공장 방문한 김정일 국방위원장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전명훈 기자 = 북한 압록강변 '만포 운하공장'이 핵개발 지원설에 휩싸인 가운데 공장 주변에서 기형아 출산 등 의혹이 꾸준히 제기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의 북한 전문 웹사이트 '비욘드 패럴렐'은 30일(현지시간) '만포운하공장: 역사와 발전' 보고서에서 북한 관련 다양한 소식통이 이 공장의 환경·건강 문제를 지적했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이 공장과 관련한 대표적인 분석으로 1999년 당시 한국 통일부 정보분석국의 '북한개요'를 인용했다.

당시 통일부는 "자강도의 경우 액체화학연료를 생산하는 만포시 운하공장 등이 위치한 별오동 주민들은 전체 주민 2만5천여명 가운데 40%인 1만여명이 간염, 간경변증, 간암, 간경화 등에 시달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뿐 아니라 운하공장 14호 직장 여성 근로자들은 불임이나 유산, 기형아 출산 등 환경오염에 따른 부작용에 시달리고 있다고 북한이탈주민들은 전하고 있다"고 했다.

보고서는 이 공장이 1990년대 이후 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을 계속했지만, 상당수 문제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만포운하공장은 1973년 착공해 1975년부터 가동이 시작됐다.

미 중앙정보국(CIA)도 일찍부터 이 공장의 존재를 포착했다.

CIA는 1980년 보고서에서 이 공장을 액체 추진연료 생산 공장으로 판단했다. 황산, 과황산칼륨을 전기분해 하는 방식으로 과산화수소 추진제를 생산한다는 것이 CIA의 분석이었다.

이후 2000년대까지 이 공장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려진 것은 없지만, 당시 북한 최고지도자였던 김정일(1941∼2011) 국방위원장이 이 공장에 여러 차례 현지 지도를 나왔다는 점에서 공장의 중요성이 잘 드러난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특히 북한 매체들은 김정일 당시 국방위원장의 현지 지도 내용을 보도하면서, 공장 주변의 주거 환경이 개선됐다는 점, 노동자들을 위한 복지 시설이 증축됐다는 점을 꾸준히 주목했다면서, 이는 공장 노동자와 인근 주민의 건강에 대한 우려를 잠재우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만포 운하공장은 자강도 만포시 남서부에서 약 4.9㎞ 떨어져 있다. 공장에는 본부와 지원시설, 변전소, 전기분해동, 생산 공장, 혼합·충전공장, 탄약창 등으로 구성돼 있다. 지하 벙커, 창고 등으로 이어지는 진입로도 위성사진에 포착됐다.

공장 주변 5㎞ 내에 북한군 대공포 부대가 7곳이나 배치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가운데 1개 부대는 이 공장을 방어하는 것이 주요 임무로 추정된다고 비욘드패럴렐은 판단했다.

앞서 27일 먼저 펴낸 관련 보고서 1편에서 비욘드패럴렐은 이 공장에 대해 "영변 원자력연구소에 각종 화학물질을 제공하는 주요 공급처로서, 북한 핵 인프라의 중요하지만 잘 알려지지 않은 구성요소"라고 분석했다.

이 공장은 ▲ 액체로켓 추진체 생산 ▲ 화학약품·무기 연구·생산 ▲ 원자력 연구·개발·생산 ▲ 산업생산 등을 담당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비욘드패럴렐은 운하(Unha) 공장을 한글로 '은하 공장'으로 표기했다. 하지만 이번 보고서에서 인용한 우리나라 통일부 보고서는 이 공장을 '운하공장'으로 썼다.

id@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