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美싱크탱크 “관계 복원하는 韓日에 IRA 불이익 줘선 안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강제징용 해법 뒤따르는 주변국 노력 강조

"한일 긴장, 文 위안부합의 파기부터 시작"

헤럴드경제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지난 16일 일본 도쿄 긴자의 오므라이스 노포에서 친교의 시간을 함께하며 생맥주로 건배하고 있는 모습.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조범자 기자] 한국이 선제적으로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문제 해법을 제시, 한·일 관계가 개선 조짐을 보이는 지금 미국 정부가 나서 양국에 '인센티브'를 제시해야 한다는 지적이 미국 내에서 제기되는 것으로 26일 확인됐다.

국내외 정치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한·미·일 삼각 공조 강화에 노력한 데에 걸맞은 보상이 있어야만 동아시아 권역에서 북한·중국 등에 대응하는 안보 협력이 지속될 수 있다는 시각이다.

미국의 외교안보 싱크탱크 태평양포럼은 최근 보고서에서 한국의 해법 제시와 일본의 수출규제 해제 등을 놓고 "화해를 향한 진지한 진전"이라고 평가하며 "양국의 협력 부족은 북한과 중국의 악의적 행위에 대한 단일대오를 방해한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윤석열 대통령이 일본에 더 가까이 다가감으로써 동북아 안보 역학에 급격한 변화를 일으킬 수도 있지만, 결과가 전적으로 그에게 달린 것은 아니다"라고 언급했다.

또 "누가 어떻게 생각하든, 윤 대통령은 전례와 여론에도 불구하고 대담한 행보에 나선 것"이라며 "그런 조치를 취하는 것이 그 혼자여서는 안 된다"라고도 했다.

이제 막 물꼬를 튼 현 상황에 주변국 노력이 더해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미국은 오랫동안 지연된 조치를 취함으로써 (한일관계 개선에 대한) 긍정의 언어 이상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작년 12월부터 시행된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문제를 짚었다.

이 법률은 '북미에서 최종 조립된 전기차'에 대해서만 소비자 세액공제를 적용하도록 규정, 결과적으로 현대·기아차를 비롯한 한국,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가 차별대우를 받게 만든다는 논란이 벌어졌다.

보고서는 "2022년 미국 의회가 '리쇼어링'(해외 진출 기업의 국내 복귀)를 위해 입법한 법안 때문에, 미국 본토에 공장을 지으려던 한국과 일본의 제조기업들에 대해서까지 보조금 지급이 무효화되는 부작용이 발생했다"고 꼬집었다.

이어 "이들 업체는 한일관계와 상관없이 (보조금 지급 등) 보상을 받아야만 했다"며 "양국 관계가 개선되고 있는 지금이 그런 조처(불이익 완화)를 하기에 적기"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만일 쿼드(Quad·미국·일본·호주·인도의 안보 협의체)가 한국을 다섯 번째 회원국으로 만들지 못한다면, 한국을 '쿼드 플러스' 등 형태로 참여시켜 협력을 심화해야 한다"고 제언하기도 했다.

아울러 "그간 일본은 한국을 '주요 7개국'(G7) 등에 참여시키는 것에 적극적이지 않았지만, 앞으로는 중국의 영향력 견제를 위해 미국 파트너 참여가 필요한 아세안(AES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등 자리에 한국 참여를 지원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한편 보고서는 "전 문재인 정부를 규정했던 대일 긴장관계는 강제징용 사안이나 일본의 수출규제로 시작된 것이 아니라, 그 이전 문 전 대통령이 위안부합의를 파기하면서부터 고조되기 시작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에 대해서는 '매버릭'(개성이 강한하거나 독립적인 사람)이라고 표현하며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는 없었던 몇 가지 장점이 있다"고 평가했다. 또 현재 지지율은 높지 않지만, 작년 말 바닥을 찍은 것으로 보인다며 "시간이 많이 남아있다"고 했다.

anju1015@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