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홀로 나이 드는 비혼 여성…‘환과고독’ 공포 떨치는 삶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환·과·고·독’(鰥·寡·孤·獨).

제나라 선왕이 왕도 정치에 대해 묻자 맹자가 ‘늙어서 아내가 없는 사람, 남편이 없는 사람, 어려서 부모가 없는 사람, 자식이 없는 사람은 천하에 곤궁한 백성으로 어디에도 하소연할 곳이 없는 자’들이라며 이들을 위한 정치를 하라고 조언하면서 나온 말이다. 다시 말하면 가족 없이 혼자 사는 사람이 가장 불쌍하다는 말이다.

2021년 기준으로 한국 전체 가구의 33.4%에 해당하는 716만 6000가구가 1인 가구다. 맹자식으로 말하자면 환과고독에 속하는 사람들이다. 이제는 흔한 삶의 방식이 됐지만 한국에서는 여전히 뭔가 비정상, 비주류로 보는 시선이 있다. 게다가 한국은 초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어 홀로 나이 드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는 분위기다.

저자는 이들을 ‘에이징 솔로’라고 부른다. 지금까지 한국 사회에서 1인 가구 대책을 내놓을 때 그 대상은 주로 20~30대 젊은층이었고, 40~50대나 그 이상의 에이징 솔로는 논의 밖이었다고 지적한다.

이들 에이징 솔로에 관한 이야기를 수면 위로 끄집어낸 저자는 기자 출신으로 문재인 정부 당시 문화체육관광부 차관보, 여성가족부 차관을 지내기도 했다. 그에 앞서 2017년 ‘이상한 정상가족’을 쓴 작가이기도 하다.

이 책의 장점은 저자가 40~50대 비혼 여성들을 인터뷰하고 그들의 경험과 증언에 최신 연구 결과까지 여러모로 검토해 에이징 솔로의 삶을 생생하게 보여 준다는 것이다. 저자와 인터뷰한 사람들 대부분은 “나이 들수록 삶이 나아진다고 느낀다”고 한다. 혼자 살면서 나이 들 때 느끼는 환과고독의 공포를 떨치라고 말한다. 그러나 여기서 간과하지 말아야 할 점은 스스로를 먹여살릴 수 있어야 하며 혼자 살지만 서로를 돌볼 수 있는 사회적 네트워크의 중요성이다.

한편 저자는 에이징 솔로 남성도 두 명 인터뷰했지만 책에 포함하지 않고 남성들과 인터뷰하는 일도 그만뒀다고 밝혔다. 한국 사회는 가부장제가 역력해 남성 비혼이 남성성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과연 에이징 솔로 남성은 홀로 나이드는 것에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을까. 저자가 밝힌 것처럼 한국이 여전히 남성 중심 사회이기는 하지만 두 명만 만나 보고 성급한 결론을 내린 것은 좋은 소재의 책을 반쪽짜리로 만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아쉬움이 남는다.

유용하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