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3 (화)

“탄소 포집·저장이 미래 먹거리” 포스코인터내셔널, 사업화 속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50년 탄소중립’ 국가과제 발맞춰

전담조직 신설, CCS사업 중점 추진

화석연료 배출 이산화탄소 저장

경제성 담보할 상용화 여부 관건

‘모니터링 제대로 될까’ 일부 우려도


한겨레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운영 중인 미얀마 가스전. 포스코인터내셔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미래신산업으로 탄소 포집·저장 기술(CCS·Carbon Capture and Storage)을 내세웠다. 화석연료를 사용할 때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줄여야 한다는 기후변화 대응 목소리가 높아지는 데 대한 대응이다. 나아가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에너지 관련 사업 부문 중 액화천연가스(LNG) 사업 비중이 95%가 넘는 터라, 안정적인 에너지 사업을 위해서는 이 기술 확보가 중요하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1일 “탄소 포집·저장(CCS)를 미래 먹거리로 낙점하고 사업 개발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회사는 “2050년 탄소중립이 국가과제로 설정되고, 이산화탄소 포집·수송·저장에 관한 법률안 제정이 추진되면서 사업여건이 확보되었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이날 대통령 직속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는 ‘제1차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정부안)’을 공개하며 탄소 포집 저장뿐 아니라 모은 탄소를 활용(Utilization)할 수 있는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전담법 제정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올해 초 포스코에너지를 인수·합병한 뒤 국외 천연가스 광구 탐사·개발·시추(업스트림)부터 국내 발전·터미널 임대·보관(다운스트림)까지 이어지는 액화천연가스(LNG) 밸류체인을 완성한 국내 유일의 기업이다. 현재 호주 동부(육상)와 버마에서 천연가스를 생산해 국내에 도입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해저(피엠524광주) 가스전을 지난 2021년부터 2025년까지 탐사할 권한도 들고 있다. 지난달엔 인도네시아 벙아(Bunga) 광구를 올해 3분기부터 2029년 2분기까지 탐사할 권한을 국제 입찰을 통해 확보하기도 했다.

탄소 포집·저장 사업은 액화천연가스(LNG)를 포함한 화석연료를 이용하는 산업 시설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따로 모아 안전한 곳에 저장하는 기술을 바탕으로 한다. 통상 탄소는 폭발 위험 탓에 해저 폐광구에 주로 묻는다. 포스코인터내셔널 관계자는 “(탄소 저장에) 적합한 지층구조를 찾기 위해 인공지진파 탐사·이산화탄소 주입 등 과정이 수반된다. 천연가스 추출 순서를 거꾸로 뒤집은 것과 유사하다”고 말했다.

한겨레

일단 포스코인터내셔널 에너지 부문 산하 ‘탄소 포집·저장(CCS) 사업화 추진반’을 신설했다. 다만 투자 규모 등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회사 쪽은 “신규 조직을 만든 뒤 로드맵을 만든 단계”라며 “하반기 사업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투자 규모도 가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건은 상용화 여부와 그 시점이다. 특히 경제성이 담보되기 위해서는 대용량 실증 실험이 필요하다. 지난달 호주 바로사-칼디타 가스전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에스케이이엔에스(SK E&S)가 미국 내 테스트 포집 공정 중 가장 큰 규모의 파일럿 공정에서 국내 기업 최초로 실증작업에 성공한 바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후발 주자인 셈이다.

탄소 포집·저장 사업 진출은 국외 기업들 사이에서도 활발하다. 각국의 규제 당국이 탄소 감축 드라이브를 강하게 걸고 있어서다. 한 예로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지난 16일(현지시간 기준) “2030년까지 연간 5천만톤의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수용력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영국·독일 등 유럽의 주요 석유화학기업들이 참여하는 다국적 컨소시엄은 덴마크 정부 지원으로 벨기에에서 이산화탄소를 수송해 덴마크 북해 아래 폐광구에 탄소를 묻는 ‘프로젝트 그린샌드’를 최근 시작했다.

일부 기후·환경 단체에선 탄소 포집·저장 기술 확대 흐름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낸다. 오동재 기후솔루션 연구원은 “탄소 포집·저장 사업이 화석연료를 계속 개발하고 활용하는 동력이 되고 있다. 제대로 탄소를 포집·저장하는 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방안도 뚜렷하지 않다”고 말했다.

최우리 기자 ecowoori@hani.co.kr

▶▶움트는 봄, 한겨레의 벗이 되어주세요 [후원하기]
▶▶한겨레 네이버 구독! 최신 뉴스를 쏙쏙~▶▶마음 따뜻한 소식을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모아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