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中 '정찰 풍선' 사태에 美 "동맹·우방국과 협력"… 한중관계 영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 "우려 이해한다"며 일찌감치 미국 손 들어줘

전문가 "사태 장기화 조짐… '반중전선' 강화될 듯"

뉴스1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 AFP=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노민호 기자 = 미국 정부가 중국의 '정찰용 풍선(기구)' 운용과 관련해 동맹·우방국들과의 공동 대응 의사를 밝혔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와도 관련 협력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돼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

카린 장 피에르 미 백악관 대변인은 8일(현지시간) 기자들에게 만나 "지난 몇 년 간 중국의 '풍선'은 5개 대륙에 걸쳐 여러 나라에서 발견됐다"며 "우린 이 문제와 관련해 동맹·우방국들과 접촉하고 있다. 국무부에서 추가 조사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도 같은 날 브리핑에서 중국의 정찰 활동 대상국은 "미국만이 아니다"며 다른 동맹·우방국들에도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등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미 국무부는 최근 자국 주재 약 40개국 대사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그간 수집·분석한 중국의 정찰용 풍선 관련 정보를 설명하고 자료도 제공한 것으로 전해졌다. 여기엔 우리나라도 포함됐다.

미 정부는 지난달 28일 알래스카주 상공을 통해 자국 영공에 진입한 중국의 정찰용 풍선이 이달 4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동부 연안을 지나 대서양 상공으로 빠져나오자 공군 전투기를 보내 격추했다.

중국 당국은 해당 기구가 '민간 기업의 기상관측용 장비'라며 '우발적 사건'에 미국 측이 "과도한 반응"을 보였다고 반발했지만, 미 정부는 중국 측의 이 같은 주장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미 정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당초 이달 5~6일 예정했던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의 중국 방문을 '무기한 연기'했다.

뉴스1

지난 5일(현지시간)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머틀비치 앞 바다에서 미 해군 폭발물 처리반 병사들이 중국 '정찰 풍선' 잔해를 수거하고 있다. ⓒ AFP=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7일 국정연설에서 "중국이 우리 주권을 위협한다면 우린 국가를 수호하기 위해 행동할 것"이라고 강력 경고하기꺼지 했다. 지난 수년 간 진행돼온 미중 간 패권경쟁과 그 때문에 깊어질 대로 깊어진 양국 간 갈등의 골이 이번 '정찰 풍선' 사건을 계기로 한층 더 심화되고 있는 것이다.

우리 정부는 이번 '정찰 풍선' 사건과 관련해 일찌감치 미국의 손을 들어준 상황. 우리 외교부 당국자는 지난 6일 "타국의 영토주권 침해는 국제법상 절대 용납될 수 없다는 게 우리 정부 기본 입장"이라며 "미국의 우려를 이해한다"고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미국은 국제법에 따라 자국 안보를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권리를 갖고 있다"며 "중국이 이번 사태와 관련해 국제사회에 투명한 방식으로 충분히 설명하는 게 중요하다"고도 말했다.

이런 가운데 미 정부도 이번 중국의 '정찰 풍선' 사건에 따른 동맹·우방국들과의 공동 대응을 모색함에 따라 미국과 역내 동맹·우방국들 간의 '중국 견제 전선' 구축이 한층 더 가속화되면서 추후 한중관계에도 영향을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는 "마이클 매콜 미 하원 외교위원장 등이 조만간 대만을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번 '정찰 풍선' 사태가 장기화할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며 "이 경우 우리나라로선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한 중국 협조를 기대하기가 더욱 더 어려운 상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교수는 "미중 간 갈등이 심해지면 결국 미국이 주도하는 '반중(反中) 전선'에 우리나라의 참여를 필요로 하는 사안이 많아질 것"이라며 "한중관계가 어려워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ntig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