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롯데바이오로직스가 최근 인수한 미국 시러큐스 소재 바이오 의약품 생산공장.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롯데가 인천 송도에 대규모 공장을 세우기로 하는 등 바이오산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바이오로직스(롯데바이오)는 최근 3조원을 투자해 인천 송도 경제자유구역청(IFEZ) 송도국제도시에 대규모 공장 건설을 추진하기 위한 사업 의향서를 제출했다. 송도에는 삼성바이오로직스·셀트리온·머크 등 국내외 제약·바이오 기업이 밀집해 있다.
롯데바이오는 지난달 미국에서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 참석해 2030년까지 30억 달러(3조7764억원)를 투자해 36만L 규모 항체의약품 생산 공장 3개를 포함한 롯데 바이오 캠퍼스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당시 이원직롯데바이오 대표는 “인수와 신규건설이라는 두 개의 전략으로 위탁개발생산(CDMO) 시장에 빠르게 자리매김하고 사업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며 10년 중장기 비전을 공개했다.
롯데바이오는 올해 하반기 첫 공장 착공을 시작해 2025년 하반기 준공, 2027년 상업 생산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2034년 3개 공장 완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매출 30억 달러(약 3조7764억원), 영업이익률 35%를 목표로 잡고 있다.
롯데는 지난달 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BMS)의 미국 시러큐스 공장을 인수하며 CDMO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했다. 이후 환경·사회적 책무·기업지배구조 개선(ESG) 경영혁신실 산하에 바이오팀(신성장2팀)을 만들고 삼성바이오로직스(삼성바이오)에서 근무한 이원직 대표를 영입했다. 5~7년 안에 기업공개(IPO)를 하겠다는 계획도 있다.
롯데바이오 기업 공개 일정은 삼성바이오와 유사하다. 2011년 설립된 삼성바이오는 5년 뒤인 2016년에 코스피에 상장됐다. 당시 공모가는 13만6000원이다. 최근 주가는 이보다 6배가량 오른 81만 원대에 거래된다. 삼성바이오는 지난해 바이오·제약 업체로는 최초로 매출 3조원을 돌파했다. 영업이익률은 32.8%로 롯데가 제시한 사업 목표와 비슷한 성적을 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기존 제약 업체는 신약 개발과 영업 기능을 갖추고 있지만, 삼성은 주로 글로벌 제약회사 제품을 빠르게 생산하는 데 중점을 뒀다”며 “후발 주자인 롯데도 삼성의 전략을 따라가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삼성바이오의 생산능력은 지난해 가동을 시작한 4공장(24만L)을 포함해 총 60만4000L로 전 세계 CDMO 생산량의 30%를 차지한다. 압도적인 세계 1위다.
사업 초반이지만 롯데는 삼성의 견제도 피해야 하는 상황이다. 지난해 10월 롯데바이오는 삼성바이오 영업비밀을 빼낸 의혹 등으로 검찰로부터 압수수색을 당했다. 앞서 삼성바이오는 지난해 자사에서 롯데바이오로 이직한 3명을 상대로 영업비밀 침해 금지 가처분 신청을 냈고, 법원으로부터 일부 인용 결정을 받았다.
김민상 기자 kim.minsang@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