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尹 “前정부 가짜 평화에 기대 민·관·군·경 총력전 수행체제 약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레이더P]
7년 만에 중앙통합방위회의 주재
文정부 때리며 통합안보태세 강조
“매년 초 직접 회의 주재할 것”
5월 민방공훈련 6년만 실시 결정


매일경제

용산 대통령실 위기관리센터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주재하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 [매경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8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제56차 중앙통합방위회의를 직접 주재하고 “지난 정부에서 회의 규모가 축소되고 ‘가짜 평화’에 기대 민, 관, 군, 경의 통합 훈련이 제대로 시행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중앙통합방위회의는 적 침투·도발 등 국가안보 위협상황에 대비해 민·관·군·경의 주요 직위자들이 참석해 국가통합방위태세를 점검하고 발전 대책을 논의하는 자리다. 대통령이 직접 중앙통합방위회의를 주재한 것은 7년 만이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부터 이 회의는 국무총리 주관으로만 개최됐고, 그마저도 최근 3년간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서면보고와 화상회의로 대체됐다.

윤 대통령은 “다양한 북한의 도발 유형에 맞춰 통합방위에 빈틈이 없는지 점검하고, 정부의 비상 대비 체계를 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앞으로 매년 초에 제가 직접 회의 주재를 하겠다”고 약속했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오는 5월 전국 단위 민방공훈련을 6년 만에 실시하기로 결정했다. 또 민방공 경보 전파 수단에 기존 사이렌과 TV자막 외에 휴대폰 문자메시지도 추가하기로 했다.

정부는 지난 2017년 8월 이후 전국 단위 민방공 훈련이 열리지 않아 국민 보호체계에 문제점이 드러났다고 판단했다. 아울러 지난해 11월 북한이 동해 북방한계선(NLL)을 넘겨 탄도미사일을 발사했을 때 상황이 신속하게 전파되지 않아 혼란이 발생했던 점을 감안해 경보체계 개선에 나섰다.

이번 회의에서는 북한의 핵·미사일 및 고강도 도발 위협에 대비한 방호시설 확충 문제도 논의됐다. 참석자들은 학교나 정부청사 등 공공시설이나 아파트·상업시설 등을 지을 때 대피시설 설치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토의했다. 회의에서는 평상시에는 이들 시설을 수영장과 도서관, 카페 등으로 활용하다가 유사시 이곳에 주민들을 대피시키는 핀란드의 사례가 제시됐다.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공격 주체가 불분명한 물리적·사이버 테러 등에 대한 현재 대응체계 실태를 점검했다. 참석자들은 이러한 상황에서 초기대응 속도를 높이기 위해 유관기관들이 협업해 통합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준비와 훈련이 필요하다고 공감했다. 윤 대통령은 사이버보안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민간과의 협력을 뒷받침하기 위한 관련 법률 제정에 힘써줄 것을 당부하기도 했다.

회의에서는 지난해 카카오 데이터센터 화재에서 드러난 것처럼 국민 생활과 직결된 주요 정보기술(IT) 기업 데이터센터를 국가중요시설로 지정하는 방안도 논의됐다. 윤 대통령은 가스·유류·원전 등 에너지 관련 시설이 국가안보에 있어 최우선적인 보안시설로 다뤄져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정부에 따르면 현재 전국에 있는 데이터센터 90곳 가운데 국가중요시설로 지정된 시설은 3곳에 불과하다. 다만 이들 데이터센터가 국가중요시설로 지정되면 방호 인력을 배치 등 민간 부담이 늘어나는 만큼, 정부 차원의 지원책도 함께 준비하겠다는 것이다.

이날 회의에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국정원, 각 군, 경찰청, 해양경찰청, 소방청 등의 주요 직위자와 관련 분야 민간전문가 등 160여 명이 참석했다. 국회에서는 한기호 국방위원장 등이 자리했다.

대통령실은 “최근 북한이 우리를 ‘명백한 적’으로 규정하고 핵 선제공격 의지를 노골적으로 과시하는 한편 무인기와 테러, 사이버 공격 등으로 국민 생활안전 위협이 점증하고 있다”면서 “엄중한 안보상황에서 대통령을 중심으로 국가 총력안보 태세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 하에 지난 2016년 이후 7년 만에 대통령이 직접 (회의를)주재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중앙통합방위회의는 북한의 잦은 침투·도발에 대응하기 위해 1968년에 시작된 비상치안회의를 근간으로 하고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