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관광객 떠날라…기약 없는 재개발에 노후 속도 빨라지는 수영만 요트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노후 건물·시설에 관리 부실…안전 문제로 크레인도 철거

재개발 추진 장기화…전문가 "지속적인 관리·보수 필요"

뉴스1

부산 해운대구 수영만 요트경기장 해상 계류장에 설치된 부잔교의 높이가 맞지 않은 모습.2023.2.6/뉴스1 강승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산=뉴스1) 노경민 강승우 박명훈 기자 = 개장 38년차를 맞은 부산 수영만 요트경기장이 빠르게 노후되고 있다. 해양도시 부산을 찾아온 관광객들이 레저로 자주 찾는 시설이지만, 낡아가는 시설에 이용객들이 떠나갈 수 있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온다.

지난 6일 취재진이 찾은 수영만 요트경기장은 시설물이 전반적으로 낡은 모습이었다. 1986년 준공된 수영만 요트경기장은 올해로 38년차를 맞는 노후된 요트장이다.

세월이 흐른 만큼 건물들도 대부분 오래됐거나 방치되고 있었다. 휴게시설은 재개발 추진으로 업체들이 폐업하면서 빈 공간으로 남아있다.

요트가 정박된 해상 계류장 부잔교에 비치된 수도시설은 추운 겨울철에 물이 얼어붙어 사고 위험이 커 보였다. 부잔교에는 별다른 안전 펜스가 설치돼 있지 않아 자칫 미끄러져 바다에 빠질 우려도 있었다.

계류시설에 고정된 강관(해상에 부잔교를 설치하기 위해 만들어진 철제)도 녹이 많이 슬어 있었고, 부잔교의 높이도 맞지 않거나 연결 부위가 제대로 고정되지 않은 다리도 있었다.

선박 수리장에는 압류 스티커가 부착된 요트가 여럿 있었고, 수리가 불가능할 정도로 파손된 요트도 보였다. 선박 거치대 아래에는 페인트통과 각종 폐기물이 한데 엉켜 있는 등 제대로 정돈되지 않은 곳도 있었다.

요트를 해상 계류장에서 육상 수리장으로 옮기는 크레인도 지난해 철거됐다.

요트가 고장 나면 육상 수리장으로 옮기는 크레인이 필요한데, 관리소가 보유한 크레인 4대는 이미 2017년 안전 점검에서 문제가 발견돼 사실상 이때부터 사용이 중단된 것으로 전해졌다.

뉴스1

부산 수영만 요트경기장 육상 수리장 내 요트 아래에 부품들이 나뒹굴고 있다./뉴스1 노경민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수리 업체 관계자 A씨는 "요트를 육상으로 옮기려면 외부 업체에서 크레인을 빌려와야 하는데, 하루에 보통 500만원이 든다"며 "비용이 부담돼 2~3곳의 업체가 나눠 지불하고 있다"고 말했다.

요트장을 이용하는 선주 B씨는 "매번 육상으로 들어 올리려면 크레인을 불러야 한다"며 "비용도 만만치 않아 부담되는 게 사실"이라고 토로했다.

무료 개방되고 있는 주차장에는 번호판이 없는 채 장기간 방치된 차량과 주차 공간이 부족해 이곳을 점거한 캠핑카들도 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였다.

이처럼 요트장 노후화의 시계가 빨라지고 있음에도 개선이 이뤄지지 않는 것은 장기간 지연되고 있는 재개발 때문이라는 목소리가 크다.

수영만 요트장 재개발 논의는 15년 전인 2008년부터 본격화했지만, 부산시와 민간사업 시행자 간 분쟁이 장기화하면서 재개발 첫 삽을 뜨는 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 6월 사업 시행자 측에서 1차로 제출한 사업변경안이 반려됐다. 이후 여러 차례 다시 제출해달라고 요청했으나 묵묵부답인 상태"라며 "오는 3월까지 최종적으로 제출하라고 통보했다. 사업 계획안이 나오더라도 재개발까지는 시간이 더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시 체육시설관리사업소 관계자는 "재개발 사업이 지속적으로 추진, 중단을 반복하고 있어 시설 개선에 필요한 예산을 책정하기 매우 곤란한 상황"이라며 "크레인 설치에도 예산이 많이 들어 현재로서는 새로 들여올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당장 재개발 추진이 어려워도 요트장 입출항이 증가하는 추세를 고려해 지속적으로 시설 관리와 보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철우 영산대 해양레저학과 교수는 “재개발 사업이 언제 다시 시작될지 모르고, 지금 바로 진행된다고 하더라도 앞으로 수년은 걸릴 규모의 사업"이라며 "재개발 사업이 진행되기 이전까지는 체육시설관리사무소에서 경기장을 책임지고 관리·보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blackstamp@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