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성용 관장, 인터뷰…"장소별로 3∼4개월씩, 세부 일정 협의 중"
"누구나 편하게 오는 박물관 됐으면…7월 취약계층 위한 계획 발표"
![]() |
윤성용 국립중앙박물관장 |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고(故) 이건희 삼성 선대회장 유족이 국가에 기증한 문화재와 미술품인 '이건희 컬렉션'이 2025년 하반기부터 미국과 영국 관람객과 만난다.
윤성용 국립중앙박물관장은 지난달 30일 연합뉴스와 한 인터뷰에서 "해외 3개 기관이 (이건희 컬렉션) 전시를 개최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혀 세부 일정과 전시품 목록 등을 조율 중"이라고 밝혔다.
윤 관장은 "2025년 하반기부터 2026년 하반기까지 미국의 스미스소니언 국립아시아예술박물관, 미국 시카고박물관, 영국박물관에서 장소별로 3∼4개월간 개최될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그간 미국의 주요 박물관과 전시 여부를 협의 중이라는 소식은 알려졌으나, 영국에서의 계획은 처음 전해졌다. 1753년 개관한 영국박물관은 최초의 공공 박물관이자 세계 3대 박물관으로 이름나 있다.
윤 관장은 지난해 박물관의 주요 성과 중 하나로도 '이건희 컬렉션'을 꼽았다.
![]() |
어느 수집가의 수집품을 가까이에서 |
기증 1주년을 맞아 어느 노년의 수집가가 손님을 초대하는 듯한 콘셉트를 내세웠던 기념전은 서울은 물론, 광주에서도 높은 관심을 받았다. 올해는 대구·청주 등에서 전시를 앞두고 있다.
박물관은 지난해 분청사기, 청자 등 기증품 2만여 점의 정보를 총망라한 목록집을 발간하기도 했다.
윤 관장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공간적·시간적 범위가 큰 기증품을 총 9권의 보고서로 정리해 국민들과 함께 누릴 수 있도록 한 것"이라며 "국립박물관의 역량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지난해 7월 취임한 윤 관장은 "많은 일이 있다 보니 지난 몇 개월이 마치 6∼7년 같았다. 박물관에서 20년 이상 일했는데도 '관장'의 무게감은 또 다른 것 같다"고 털어놨다.
그런 말과는 달리 윤 관장은 사실 박물관 내부 사정을 속속들이 아는 전문가다.
경북대 사학과 출신인 그는 1997년 국립대구박물관 학예연구사로 첫발을 뗀 이후 국립청주박물관장, 국립민속박물관장, 국립중앙박물관장 학예연구실장 등 주요 보직을 거쳤다.
![]() |
인터뷰하는 윤성용 국립중앙박물관장 |
그런 그가 취임 이후 가장 먼저 한 일은 각종 회의와 결재판을 없앤 것이었다고 한다.
"우리 박물관에 있는 구성원 모두가 전문가입니다. 이들이 각자의 영역에서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고 기회를 주는 게 제 역할이고요. 제가 시킬 일은 없죠." (웃음)
지난 7개월, 어쩌면 짧은 기간일 수 있지만, 그로서는 녹록지 않았던 시간이었다.
특히 중국 국가박물관이 한·중·일 3개국 박물관이 함께한 기획전시에서 고구려와 발해를 뺀 한국사 연표를 전시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취임 두 달여 만에 공식 사과하기도 했다.
윤 관장은 "중국 측에서는 실무 담당자의 소통 부족 때문에 발생한 일이라 했지만, 현장 상황과 그간의 논의 과정을 고려하면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철저히 계획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고구려 역사는 당연히 우리 역사"라며 "박물관이 소장한 광개토대왕비 탁본(拓本·불상이나 비석 등에 새겨진 글씨나 그림을 그대로 떠낸 것)을 상설 전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윤성용 국립중앙박물관장 |
윤 관장은 박물관이 '누구에게나 쉽고, 편한 장소'였으면 한다는 뜻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에 주목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박물관이 엄숙하고 딱딱할 거로 생각하는 이들에게 '벽'을 허물고 싶다는 게 그의 바람이다.
"청년들이 없다면 우리의 존재 이유도 없습니다. 그동안 박물관이 역사적 사실 전달에 집중했다면 이제는 누군가의 마음에 닿아야 하지 않을까요? 감동과 사람, 이야기가 있는 박물관으로요." (웃음)
윤 관장은 올해 박물관의 문턱을 낮추는 데 집중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를 위해 박물관은 장애인 등 문화 취약계층이 박물관을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무장애(Barrier Free) 관람 환경을 조성하고, 이를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해 7월 중 발표할 예정이다.
"박물관이요? 제 삶의 원동력이자 존재 이유입니다. 20여 년이 지난 지금도 텅 빈 전시장에서 가만히 있는 시간이 좋습니다. 이곳을 어떻게 꾸미고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지, 함께 고민하고 싶습니다."
![]() |
마스크 쓰고 벗은 박물관 관람객들 |
yes@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