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3 (화)

사용금지 위기에 빠진 틱톡...미국 중국 싸움에 터질 판국 [추적자 추기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틱톡로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숏폼 SNS의 대명사 틱톡이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다름아닌 미국과 중국의 갈등 탓인데요. 미국에서 틱톡을 막아야한다는 소리가 나날이 커져가는 가운데 틱톡의 운명이 미국에 달린 상황입니다.

현재 미국에서 연방 정부를 비롯해 20여 개 주정부 차원에서 정부 단말기에서 틱톡 사용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틱톡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대결구도가 향후 미·중 갈등의 씨앗이 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2016년 혜성처럼 등장한 틱톡은 중국 개발사 바이트댄스가 내놓은 숏폼 동영상 SNS입니다. 15초에서 10분 정도로 다소 짧은 길이의 영상을 제작해 공유하는 플랫폼으로 전 세계적인 유행을 불러일으킨 앱 서비스죠. 30억명이 내려받으며 선풍적 인기를 누리고 있는 틱톡은 2022년 전 세계 앱 중 다운로드 순위 1위를 기록하며 현재까지 그 인기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사용자도 1억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미국인 3명 중 1명은 틱톡을 사용할 정도로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유행에 민감하고 인플루언서가 범람하는 MZ세대, 그 중에서도 10대 사이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으며 1억명이 넘는 팔로워를 보유한 틱톡커 등을 탄생시키며 대세에 편승했죠.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스냅챗 등 대부분의 SNS 서비스가 미국기업이 만들고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그 중 유일하게 틱톡만 중국 기업이 만든 서비스입니다. 미국 내에서는 개인정보 유출과 기밀 유출을 이유로 금지 여론이 커져 왔습니다.

매일경제

조 바이든 대통령<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20년 8월, 당시 대통령인 도널드 트럼프는 틱톡의 사용을 금지하겠다고 밝혔으며 이를 미국 기업에 매각하라고 통보하며 1차 위기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에 대한 매각 과정은 굉장히 껄끄러웠고 결국 갈등과 논란 끝에 이러한 인수는 무산된 바 있습니다. 그리고 서비스 사용은 재개됐죠. 이미 이때부터 미·중 갈등의 근원지가 바로 틱톡이 될 것이란 이야기가 퍼져나왔습니다. 잠잠했던 틱톡 문제는 결국 2023년 새해를 맞아 다시 터졌는데요. 바로 미국 의회가 2023년도 회계연도 연방정부 예산안을 처리하면서 연방 정부 소유 모바일 기기에서 틱톡 사용을 전면 금지한 것입니다. 지난 2020년 당시에도 미국 상원이 연방 정부 공무원들이 틱톡 사용을 전면 금지하도록 만장일치로 통과시킨 바 있는데 이러한 갈등이 3년만에 다시 재현된 셈입니다.

현재 연방 의회는 애플과 구글에 틱톡을 퇴출하라고 압박하고 있습니다. 민주당 소속 마이클 벤넷 상원의원이 각사 CEO에게 직접 틱톡을 퇴출하라는 서한을 보낸 것인데요. 중국 공산당이 미국의 3분의 1이 보는 콘텐츠를 살펴보고 정보를 취득 중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미·중 갈등은 단순히 정보 유출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거시 경제의 위기 신호가 커진 것 역시 이러한 미·중 갈등을 가속했다고 보이는데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원유, 곡물 등 원자재를 중심으로 인플레이션이 가속화됐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미국, 유럽 등은 독자적이고 배타적 경제주의를 표방하고 경쟁적으로 금리를 가파르게 올리고 긴축 재정을 견지하는 등 여유가 사라지기 시작했습니다. 이 가운데 중국 역시 미국이 아닌 러시아의 손을 잡아주며 미국-유럽 연합과 러시아-중국 연대의 신냉전 구도를 만들어가고 있죠.

이런 가운데 틱톡이란 SNS 플랫폼이 갈등의 촉매로 작용했습니다.

크리스토퍼 레이 미국 연방수사국(FBI) 국장은 지난해 11월 미국 하원에 출석해 “바이트댄스가 사용자 데이터를 중국 정부에 제공하고 이를 활용할 가능성이 있다”“틱톡을 설치한 기기의 소프트웨어(SW)를 제어할 수도 있는 만큼 특별하게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이에 따라 조 바이든 대통령도 연방정부 공무원이 정부 기관 기기에서 틱톡을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에 서명했고요. 사실상 미국 정부 차원의 대응이 나오며 이제 막을 수 없는 사태로까지 치닫는 분위기입니다. 미국 백악관 예산관리국(OMB)에서는 연방정부 기관이 따라야 할 구체적인 표준 지침을 마련하면서 이러한 제재에도 가속도가 붙고 있습니다.

지난해 말 미국 하원 사무국 역시 내부 공지를 통해 하원이 사용하는 모든 기기에서 틱톡 다운로드를 금지했습니다.

현재까지 이러한 틱톡 제재안을 취한 주는 위스콘신, 노스캐롤라이나, 오하이오, 뉴저지, 아칸소 등이 있습니다. 연방정부를 비롯해 주 정부 20곳 이상이 정부가 이용하는 디지털 기기에서 틱톡 사용을 막고 있습니다.

정부 기기 뿐 아니라 아예 틱톡 사용 자체를 금지하는 법안도 제출됐습니다. 전방위적 공세를 취하고 있는 것이죠.

매일경제

인사말 하는 시진핑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해당 법안을 발의한 공화당 소속 마코 루비오 상원의원은 “미국 연방 정부는 그동안 틱톡의 위협으로부터 미국인들을 보호하기 위한 의미 있는 조처를 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면서 “중국 공산당의 꼭두각시 회사와 의미 없는 협상을 하면서 시간을 낭비할 때가 아니며 지금은 틱톡을 영구히 금지해야 할 때”라고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틱톡의 최고경영자인 저우서즈는 오는 3월 23일 하원 에너지통상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입장을 밝힐 예정입니다. 개인정보 유출이 진짜 가능한 것인지 등에 대한 구체적 해명이 예고돼 있습니다.

물론 틱톡을 둘러싼 미·중 갈등에 대해 과한 규제로 미·중 갈등을 부추긴다는 반론도 역시 존재합니다. 일개 기업의 사업을 두고 미국답지 않은 모습을 보인다는 것입니다. 실제 틱톡에서 발생하는 부수적 경제효과와 고용 창출 효과 등을 고려한다면 더욱 신중한 제재가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실제 인도 정부는 지난 2021년 인도와 중국의 갈등을 이유로 틱톡, 위챗 등 중국 앱 서비스 59개 앱의 사용을 영구 중단했는데요.

이에 따라 인도에서는 일자리 2000개가 사라져 실직대란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증권업업계 관계자는 “틱톡을 단순히 중국에 본사를 둔 서비스라는 이유로 제재하는 것은 과하다는 것을 미국내에서도 이야기 중이다”며 “결국 틱톡은 미·중 갈등을 위한 명분일 뿐 실제로는 미국 정부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란 점에서 지켜봐야 할 듯하다”고 밝혔습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