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대표는 3일 2022년 4분기 컨퍼런스콜에서 "현재 GPT챗 관심이 높은데 검색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면밀하게 검토하고 있다"며 "아직 신뢰성이나 비용 효율화 측면에서 검토할 과제가 많다"고 말했다.
이어 "네이버의 서치GPT는 검색 결과에 직접 적용하기보다 기존 생성 AI(인공지능)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고민하는 베타의 장으로 별도 오픈 계획이 있다"며 "생성형 AI의 단점으로 꼽히는 신뢰성과 최신성 부족, 해외 업체들의 영어 기반의 개발 모델을 한국으로 번역함으로써 발생하는 정확성 저하를 풍부한 사용자 데이터와 네이버 기술 노하우를 접목해 기존 검색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서치GPT가 서울 지하철 요금처럼 정보가 요약된 답변이 필요한 검색은 신뢰도가 높은 최신 콘텐츠 데이터를 출처를 제공하고, 노트북을 싸게 구매하는 방법과 같은 조언이 필요한 검색은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한 답변 할 수 있을 것이다"라며 "검색 결과의 품질과 이용자의 콘텐츠 소비 경험을 향상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
[사진=네이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walnut_park@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