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수도권은 경쟁 치열”… 부·울·경으로 눈 돌리는 창업기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쟁이 치열한 수도권을 피해 지방에서 기회를 찾는 창업기업이 늘고 있다. 특히 대학이 몰려있어 산·학·연 협력사업 활발히 진행되는 부산·울산·경남지역으로 몰리고 있다.

3일 중소벤처기업부 ‘창업기업 동향’에 따르면 작년 10월부터 11월까지 부산과 울산, 경남의 창업기업 수는 전월대비 2개월 연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17개 시도 중 창업기업 수가 2개월 연속 증가한 곳은 부·울·경을 제외하면 제주도뿐이다.

조선비즈

지방의 한 도시에서 청년 창업 로컬크리에이터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창업 기업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울산이다. 울산의 창업 기업 수는 10월 18.2% 증가하며 큰 폭으로 늘었고, 11월에도 5.4% 증가했다. 경남(10월 5.6%, 11월 2.5%)과 부산(10월 2.4%, 11월 1.6%)도 2개월 연속 증가했다. 특히 고용 창출 효과가 큰 기술기반 업종의 창업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기반 업종은 ▲정보통신 ▲전문·과학·기술 ▲사업지원 서비스 ▲보건·사회복지 등 지식 기반 서비스업과 제조업을 뜻한다.

부산의 경우 11월 기술기반 창업기업 수가 전월 대비 15.2% 증가했다. 10월에 2.3% 감소했지만, 11월에 크게 증가하면서 이를 만회했다. 울산도 11월 12.9% 증가하며 10월(-4.2%)의 감소 폭을 상쇄했다. 경남은 10월(5.2%)과 11월(4.0%) 모두 증가했다.

수도권의 창업기업 수는 등락을 보이고 있다. 서울의 경우 10월 전체 창업기업 수가 5.3% 감소하며 전국 17개 시·도 중 강원(-7.0%) 다음으로 감소 폭이 컸다. 11월에 1.0% 증가하면서 그나마 소폭 늘었다. 인천과 경기지역도 등락을 거듭했다.

조선비즈

울산과학기술원 캠퍼스 전경.



업계에서는 정책 혜택을 얻기 어려운 수도권을 피해 지방으로 창업 수요가 몰리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우리나라 인구 절반이 쏠린 수도권에서는 창업 기업도 많은 탓에 한정된 정책자금을 둘러싼 경쟁이 치열하다. 반면 지방에서는 인구가 적어 상대적으로 경쟁률이 낮다.

예를 들어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중진공)이 운영하고 있는 청년창업사관학교의 경우 수도권의 입교 경쟁이 치열하다. 청년사관학교는 입교자를 대상으로 최대 1억원의 창업 사업화 지원금과 사무공간, 시제품 제작 관련 등을 지원한다. 토스·직방과 같은 유니콘 기업을 배출하면서 ‘청년창업가들의 요람’으로 불리고 있다.

청년창업사관학교는 전국 총 18개소에서 운영되고 있다. 2019년의 경우 수도권의 입교 경쟁률은 8대 1 수준으로, 전국 평균(4.9대 1)의 1.6배였다. 2020년부터는 지역별 경쟁률이 공개되지 않아 비교가 어렵지만, 수도권 지역의 입교 경쟁률이 전국 평균을 상회한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부·울·경 지역은 대학이 많아 산·학·연 연계 사업이 가능하다. 부산에는 부산대학교와 부경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등 21개 학교가 있고, 울산광역시와 경남지역은 울산과학기술원(UNIST)을 기반으로 다양한 연구활동이 이뤄지고 있다. 기술기반 창업이 가능한 여건이 조성된 것이다.

최근에는 부·울·경 지역에 투자하는 액셀러레이터도 늘어나고 있다. 2017년 설립된 ‘시리즈 벤처스’는 부산과 울산,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창업기업에 투자하고 있다. 현재까지 총 30여개의 기업에 투자했다. 글로벌 액셀러레이터 스파크랩도 구글과 손잡고 부·울·경 지역의 그린테크 분야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있다.

한 정책지원기관 관계자는 “창업 초기 기업의 자본력 확보에 큰 도움이 되는 정부 지원금을 비교적 쉽게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경쟁률이 낮은 지방 창업이 유리한 측면이 있다”면서 “특히 대학교를 기반으로 좋은 인력을 수급할 수 있는 부산과 울산, 경남은 기술 창업을 노리는 사업가들에게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온정 기자(warmheart@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