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이슈 물가와 GDP

한국 물가 여전히 상승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 1월 소비자물가 5.2% 올라



중앙일보

물가가 급등하면서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이 오르자 서울시내 전통시장 분식집에서도 1일부터 가격을 인상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소 진정되는가 싶던 물가가 연초 다시 뛰어올랐다. 전기·가스·수도요금이 다락같이 오르면서다. 한국은행은 “예상에 부합한다”고 진단했지만, 공공요금발 물가 폭등을 우려하는 경고등이 켜졌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 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0.11(2020년=100)로 1년 전보다 5.2% 올랐다. 지난해 5월부터 9개월째 5% 이상 상승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연간 물가 상승률은 5.1%로 외환위기를 겪은 1998년(7.5%) 이후 24년 만에 최고치였다. 특히 주목할 만한 건 3개월 만에 물가 상승 폭이 확대됐다는 점이다. 물가는 지난해 7월 6.3%까지 치솟아 정점을 찍었다. 이후 완만하게 둔화하다 11월(5.0%)과 12월(5.0%) 바닥을 다졌다. 그러나 지난달 다시 상승세로 전환했다.

물가 상승세를 이끈 건 공공요금이다. 지난달 전기·가스·수도료가 1년 전보다 28.3% 급등했다. 별도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0년 이후 최고치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1분기 전기요금을 ㎾h(킬로와트시)당 13.1원 인상하는 요금 조정안을 발표했다.



전기 30%, 가스 36%…공공요금 인상폭 ‘역대 최대’ 기록



지난해 1년간 올린 전기요금이 19.3원임을 고려하면 가파른 인상 폭이다. 요금 상승에 따라 지난달 전기료는 전월 대비 9.2%, 1년 전보다 29.5% 올랐다. 같은 기간 도시가스 요금도 36.2%, 지역난방비는 34% 올랐다.

물가 상승에 대한 전기·가스·수도 요금의 기여도는 지난해 7월 0.49%포인트→10월 0.77%포인트→올 1월 0.94%포인트로 점점 커지고 있다. 공공요금발 물가 급등을 우려하는 이유다. 당장 올 1월 한파로 급등한 난방비가 다른 품목 물가까지 자극할 수 있다.

이 밖에 다른 품목 가운데선 농축수산물이 1.1%, 공업제품이 6% 올랐다. 개인서비스 상승률은 5.9%로 전월(6%)보다 둔화하는 흐름이 이어졌다. 8%대를 웃돌던 외식 물가 상승률이 7.7%로 소폭 하락한 영향이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1월 물가 상승 폭 확대는 전기료 상승 영향이 컸다”며 “물가는 연초 제품·서비스 가격이 오르는 영향으로 1월 상승 폭이 큰 편”이라고 설명했다.

‘근원물가지수’는 5% 올라 전달(4.8%)보다 상승 폭을 키웠다. 2009년 2월(5.2%) 이후 가장 높았다. 근원물가는 일시적 가격 변동이 큰 농산물과 석유류 물가를 제외한 수치다. 물가 상승 압박이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의 영향을 받는 일부 품목에 국한되지 않고 있다는 의미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과 생필품 위주로 구성해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도 6.1% 올라 전달(5.7%)보다 상승 폭을 확대했다.

문제는 앞으로도 물가 인상 요인이 즐비하다는 점이다. “상반기 고물가를 유지하다 하반기에는 꺾여 올해 전체로 보면 물가 하향 안정세가 뚜렷해질 것”(지난달 4일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란 정부 예측과 달리 고물가가 장기화할 수 있다.

당장 교통비·수도요금 등 공공요금 줄인상이 예고돼 있다. 전국 17개 시·도 대부분이 버스·지하철·택시 등 대중교통 요금 인상을 검토 중이다. 서울은 4월 중 시내버스·지하철 요금을 각각 300~400원 인상할 계획이다. 택시요금은 이미 1일부터 중형 택시 기준 기본요금이 3800원에서 4800원으로 올랐다.

‘난방비 폭탄’에 이은 ‘물 폭탄’ 가능성도 있다. 서울은 올해부터 가정용 상수도 사용단가를 t당 480원에서 580원으로 인상했다. 인천·울산·대전·세종 등도 올해 상하수도 요금 인상 계획을 밝혔다. 정부가 한국전력과 한국가스공사의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올해 요금을 인상하겠다고 밝힌 만큼, 전기·가스요금의 인상 행진도 이어진다.

정부는 1분기까지 물가상승률이 5.0% 내외를 기록하다 2분기부터 서서히 둔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물가 안정’을 최우선 목표로 하는 한국은행도 비슷한 시각이다. 이환석 한은 부총재보는 이날 열린 ‘물가 상황 점검회의’에서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달 금융통화위원회 당시 예상에 부합하는 수준”이라면서도 “(소비자물가가) 2월에도 5% 내외의 상승률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물가 경로상 중국 리오프닝(봉쇄 완화)에 따른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 추이, 국내외 경기 흐름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세종=김기환 기자 khkim@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