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수 88% 쇼츠에서 발생
“짧을수록 많이 보고 돈 된다”
오늘부터 수익화 가능해져
“짧을수록 많이 보고 돈 된다”
오늘부터 수익화 가능해져
![]()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유튜브 시청자 조회수의 80% 이상이 쇼츠에서 발생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크리에이터 전문기업 콜랩아시아는 1일 1500여개 보유 채널을 대상으로 한 시청자 데이터 분석 자료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이날부터 시작되는 유튜브 쇼츠 수익화 시작을 맞아 진행됐다.
콜랩아시아에 따르면 유튜브 시청의 84%가 모바일에서 일어났다. 이는 곧 모바일에 적합한 세로형 콘텐츠 시청으로 이어졌다. 유튜브 채널 유입 10명 가운데 7명은 쇼츠로 처음 채널에 접근했다. 그 다음은 탐색기능, 채널 페이지를 통한 유입이었다.
시청자 조회수의 88.2%가 쇼츠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측정됐다. 뒤이어 비디오, 라이브스트림 순이었다.
채널별 영상 소비 시간이 늘어난 점이 눈길을 끈다. 유튜브 쇼츠가 활성화하기 전 영상을 시청하는 시간은 약 2분에서 1분으로 절반 가량 줄어든 반면, 전체 채널별 시청시간은 약 2.3배로 증가했다. 즉 한 시청자가 약 10분 길이의 유튜브 1편을 보는 것보다 60초 분량의 쇼츠를 10번 이상 보는 빈도가 늘었다는 의미다.
실제로 유튜브는 과거 신규 구독자 1000명을 보유하고 시청 시간이 4000시간이 넘는 채널만 수익화 대상으로 승인했으나, 이날부터 ‘90일간 쇼츠 조회수 1000만회 이상’을 기록한 채널도 수익화 대상으로 포함했다.
유튜브는 지난 2021년부터 올 1월까지 ‘쇼츠 펀드’를 조성해 크리에이터들의 쇼츠 제작 환경을 지원하며 해당 시장의 수익성을 실험해왔다.
콜랩아시아 측은 쇼츠가 크리에이터 시장에 지각변동을 일으킬 것으로 내다봤다. 쇼츠의 경우 콘텐츠 제작 부담이 적고 기존 미디어 소비시간 대비 많은 수의 영상을 소비할 수 있어 매력적인 수익창출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한번 제작한 숏폼 콘텐츠는 인스타그램 릴스, 틱톡 등에 확장해 활용할 수 있어 ‘원콘텐츠 멀티유즈’ 전략이 가능하다는 평가다.
최유진 콜랩아시아 대표는 “유튜브 쇼츠의 수익화로 더 많은 새로운 크리에이터가 출현하고 기존 크리에이터가 다양한 콘텐츠를 시도할 것”이라며 “광고주들이 새로운 마케팅에 도전하며 크리에이터 생태계 지각변동이 일어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콜랩아시아는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크리에이터와 인플루언서들의 창작 활동을 돕고 수익창출을 지원하는 기업이다. 전 세계 1500개 이상의 유튜브 크리에이터의 채널을 보유하고 있으며, 콜랩아시아 크리에이터의 소셜미디어 전체 구독자 수는 20억명이 넘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