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점 하나에 욕망 한 조각…세계를 사로잡은 구사마의 점[영감 한 스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94세 스타작가 구사마 야요이의 예술세계

동아일보

김민 문화부 기자


요즘 미술계 사람이라면 한동안 소셜미디어에서 ‘이 작가’를 마주칠 수밖에 없다고 합니다. 호박 모자를 쓴 로봇, 파리 샹젤리제의 건물을 집어 삼키는 인형까지…. 패션 브랜드 루이뷔통과 협업한 일본 예술가 구사마 야요이(94)의 이야기입니다.

다소 기괴한 조형물을 보고 호사가들은 “아흔 넘은 예술가가 동의한 게 맞느냐”며 음모론을 제기합니다. 그러나 제게 더 흥미로운 건 예술가가 본인의 캐릭터까지 사랑받는다는 사실이었습니다. 가장 유명할 작가인 피카소도 작품으로 사랑을 받았는데 말이죠. 구사마는 어떻게 대중을 사로잡은 걸까요?

안락한 소파에 돋아난 돌기

동아일보

구사마 야요이의 1963년 작품 ‘무제(의자)’. 구사마 야요이 재단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홍콩 M+ 미술관에서는 구사마의 작품 200여 점을 선보이는 회고전 ‘구사마 야요이: 1945년부터 현재까지’가 열리고 있습니다. 구사마의 고국인 일본을 제외하고 아시아 최대 규모인 이 전시에서 초기 조각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원래는 푹신한 모습을 하고 있어야 할 소파 위에 통통한 돌기들이 빽빽하게 돋아나 있죠. 미술관은 ‘식물의 눈, 종양 혹은 남근 같은 모양’이라고 설명합니다. 1960년대 선보인 ‘축적’ 시리즈에서는 이런 일상의 도구 위에 돌기들이 가득 메워진 모습을 발견할 수 있는데요. 안락해야 하는데 앉지도 못할 모양을 한 의자에서 느껴지는 건 불안과 공포입니다.

구사마는 어릴 적 어머니로부터 신체적 학대를 당했고, 아버지의 혼외 관계를 감시하라는 임무를 받기도 했습니다. 그는 어릴 적 “성에 대해 두려움과 호기심의 양가적 감정을 느꼈다”고 합니다. 불안한 가정 상황과 어린 나이에 보지 않아도 될 것까지 본 그녀의 심정이 바로 이런 것이었겠죠.

소파 위 돌기들은 성에 대한 징그러운 느낌, 그러면서도 걷잡을 수 없이 생겨나는 호기심을 상징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욕망은 곧 에너지다

이 징그러운 돌기들은 그런데 점차 컬러풀한 점으로 수렴되기 시작합니다. ‘축적’ 시리즈 이전에도 구사마는 물방울무늬를 이용했지만, 이 무렵부터 퍼포먼스나 참여 작품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죠.

구사마는 동료 예술가들과 함께 나체 위에 물방울무늬를 칠하거나, 그 무늬가 그려진 옷을 입고 퍼포먼스를 했습니다. 이때 퍼포먼스는 미국의 베트남전쟁을 반대하는 의미도 있었지만, 한편으로는 욕망을 의미하는 ‘점’에 지배된 인간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이 점이 앞선 설치 작품에서는 두려운 것이었다면, 이제는 세계와 나를 연결시켜 주는 통로가 됩니다. 구사마는 점을 ‘자아의 제거와 소멸’이라고 설명합니다. 즉, 살아 있는 존재라면 모두가 갖고 있는 욕망을 통해 우주와 내가 연결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억눌러야 하는 것으로 여겨졌던 욕망을 구사마는 에너지라고 이야기하기 시작합니다.

“물방울무늬는 태양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태양은 모든 우주와 생명의 에너지를 상징한다. 물방울무늬는 움직이는 운동이며 무한으로 이어지는 통로가 된다.”

스스로에게 정직한 것이 무기

동아일보

눈부시게 화려한 색채와 편집증, 집착을 떠올리게 할 만큼 집요하게 반복되는 점과 줄무늬가 특징인 작품 가운데 94세 예술가 구사마 야요이가 앉아 있다. 새빨간 머리카락도 그녀의 트레이드마크 중 하나다.유스케 미야자키, 오타파인아트, 빅토리아 미로, 데이비드 즈위너 갤러리 제공 ⓒ YAYOI KUSAMA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자신의 욕망을 거침없는 퍼포먼스로 드러낸 그녀에게도 시련은 있었습니다. 1960년대 퍼포먼스가 언론에 자극적으로 보도되긴 했지만, 그 이상의 의미로는 해석되지 못하면서 그녀는 점점 사람들의 관심에서 멀어집니다.

1973년 미국에서 일본으로 돌아간 구사마에게 일본 언론은 ‘스캔들의 여왕’이나 나체 퍼포먼스를 하는 문란한 여자라는 타이틀을 붙입니다. 그러다 1989년 미국 뉴욕에서 회고전을 하면서 재조명을 받게 되죠. 그녀가 잊혀졌다 다시 조명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그녀의 예술이 결국 스스로에게 철저하게 솔직했고, 이것이 인간의 한 단면을 정직하게 드러내서였습니다. 이 때문에 시간이 지나고 시대가 바뀜에 따라 작품이 인정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이죠.

욕망이 두렵지만 동시에 에너지가 될 수 있음을 인정하는 과정은 그녀를 대중적인 작가로도 만들어 주었습니다. 구사마가 테이트 미술관에서 선보인 유명한 설치 작품 ‘소멸의 방’은 관객이 흰 방에 스티커를 붙이도록 참여를 유도합니다. 스티커를 붙이는 행위는 마치 어떤 것을 나의 소유라고 표시하는 듯한 기분을 줍니다. ‘붙이고 싶다’, ‘갖고 싶다’는 욕망을 자극하는 것이 바로 이 설치 작품이었습니다.

그런가 하면 ‘인피니티 미러 룸’은 사방에 거울을 설치해 관객으로 하여금 자신의 모습을 끊임없이 비춰보도록 만들었습니다. 내가 작품의 일부가 되고 주인공이 되고 싶은 사람들의 욕망을 북돋은 것입니다. 이 작품은 지금도 전 세계 미술관에서 전시될 때마다 빠르게 매진될 정도로 인기입니다.

구사마 야요이라고 하면 예쁜 호박이나 화려한 물방울무늬가 가장 먼저 떠오르는데요. 그 가운데에는 삶의 좌절과 어두운 면까지 끌어안고, 스스로를 솔직하게 돌아본 과정이 있었기에 그녀가 예술가로서 사랑받을 수 있었음을 부정할 수 없습니다. 구사마의 물방울무늬를 보며, 나를 괴롭게도 또 성장하게도 만드는 욕망에 대해 돌아보는 건 어떨까요?

※ 뉴스레터 ‘영감 한 스푼’은 매주 금요일 오전 7시 발송됩니다. QR코드를 통해 구독 신청하시면 e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김민 문화부 기자 kimmin@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